남북 당국간 ‘개성접촉(4·21)’이 있은지 5일로 2주가 지나면서 다음 대화를 제의할 것인지 아니면 ‘신중모드’를 이어갈 것인지, 양자택일의 선택지를 앞에 둔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개성접촉에서 북한이 개성공단 근로자 임금인상, 토지사용료 조기지불 등 요구와 함께 공단과 관련한 기존 계약의 재협상을 제안하며 남측 코트로 볼을 넘기면서 정부는 이에 대한 검토를 진행해왔다.
정부는 이날 현재 개성접촉 이후 북한의 요구에 대한 입주기업 등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을 1차 수렴하는 등 다음 대화를 위한 기술적 준비는 어느 정도 마무리했다는게 소식통들의 전언이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도 지난달 28일 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억류직원 문제가 앞으로 있을 대북협상과 관련이 있냐’는 질문에 “앞으로 협상서 이 문제가 완전히 분리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정부는 의제조차 불분명했던 개성접촉때의 경우 일단 만나서 유씨 문제해결을 요구하자는 심정으로 당국자를 파견했지만 2차접촉을 앞두고는 적잖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분위기다. 차기접촉때 유씨 석방과 관련한 모종의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국내여론의 비판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고, 그 경우 남북대화의 흐름을 이어가기도 어렵게 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유씨가 풀려나길 마냥 기다리자니 정부로선 대화의 모멘텀 상실가능성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다. 그런 까닭에 이번 주말 또는 다음주 중에는 정부가 차기접촉과 관련한 입장정리를 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정부안팎서 힘을 얻고 있다. ‘기다림’과 ‘정면돌파’ 중 한쪽을 택해야할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는 관측인 셈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