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한, 당 대표 ‘직할체제’ 권한 강화 추진

연합뉴스
등록일 2009-05-05 20:23 게재일 2009-05-05
스크랩버튼

정책위의장 임명권 부여

당내 반발도 적지않을듯

한나라당은 4일 4·29 재보선 완패의 후속 대책으로 당 대표의 권한을 강화하는 것을 뼈대로 하는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원내대표 후보가 정책위의장 후보를 지명해 동반선출하는 현행 러닝메이트제를 당 대표가 정책위의장을 직접 지명하는 방식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지난 2005년 현 원내대표인 홍준표 의원이 이끌었던 당 혁신위가 원내정당화를 강화하기 위해 제도를 도입한 지 3년반만이다. 당 혁신안이 마련되기 전에는 당 대표가 직접 정책위의장을 지명했다.


박희태 대표는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러닝메이트 선출에 대한 개선의견을 제시하며, “민주당도 원래 우리식으로 (동반선출로) 갔다가 정책위의장은 대표가 지명한다”고 말했다.


정몽준 최고위원은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은 상하관계가 아니라 병렬관계인데 동반 선출제도 때문에 상하관계로 오해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앞서 홍준표 원내대표와 임태희 정책위의장은 종합부동산세 완화 및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폐지를 놓고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놓기도 했다. 이에 따라 당정간 엇박자는 물론 당내 갈등을 증폭시켰다는 지적도 제기됐었다.


즉, 이번 당헌·당규 개정의 목표는 당 대표가 직접 정책위의장을 지명함으로써 불필요한 당정청간 불협화음을 줄여 보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당정간 주요 정책 추진 방향을 둘러싼 불협화음이 4·29 재보선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집권여당의 정책 일관성에 대한 신뢰를 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원내정당화 취지에서 마련된 제도를 다시 대표 직할체제로 바꾸는 데 대한 반발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아도 국회 상임위가 아닌 당론 중심의 국회운영이 극한 파행을 가져온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연합뉴스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