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졌던 낙동강과 백두대간, 동해안이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 따라 천혜의 선택된 녹색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녹색성장의 모범사례로 채택된 경북도가 3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정부 녹색성장위원회와 행안부가 공동 주관한 ‘녹생성장 지방정책 보고회’에서 김관용 도지사가 사례를 직접 발표했다.
이번 발표로 경북도의 녹색성장 전략이 대내외적으로 더욱 큰 주목을 받게 됐다. 이는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보다도 먼저, 2006년 민선4기 출범부터 동해안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산업벨트, 낙동강과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신성장 생태축 육성을 도정의 역점과제로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기 때문이다.
또 경북도가 지금까지 유치해 낸 기업 3개 중 1개가 신재생에너지 기업일 정도로, 미래 성장동력위주의 선택적인 투자유치 활동을 해 왔다.
이날 김관용 도지사는 ‘산업의 녹색화, 의식의 녹색화’의 주제 발표로 그린에너지 투자유치 벨트를 통한 신산업 중심의 산업 구조재편과 녹색성장 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국민의식 개혁운동으로서의 그린 새마을 운동을 강조했다.
김 지사는 “그간 버려졌던 낙동강과 백두대간, 동해안이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 따라 천혜의 선택된 녹색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며 “경북은 동해안의 에너지 산업기반을 바탕으로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산업기반을 획기적으로 확충해 왔으며, 지방 차원에서 동국대 에너지환경대학, 포스텍 풍력대학원 등을 통한 녹색인력 양성에도 많은 노력을 해 왔다”고 말했다.
또 김 지사는 “무엇보다 경북도의 선택적이고 전략적인 활동으로 2년만에 총 14개에 달하는 세계적인 그린 에너지기업을 지역에 유치, 3조4천억원의 유치액과 4천600개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다”고 전망했다.
특히 김 지사는 “경북의 훌륭한 녹색기반을 기업이 먼저 인정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그린에너지 기업과 연관기업들이 경북으로 몰려 올 것”이라며 자신감을 피력했다.
김관용 도지사는 “녹색성장 시대에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국민의식의 선진화를 위해 물질만이 아닌 법과 제도, 인식, 문화 등을 포함하는 사회적 자본의 확충이 관건이다”며 “이는 바로 21세기형 녹색 새마을 운동이 그 해답이다”고 강조했다.
/서인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