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경찰청이 내근직 10%를 외근직으로 전환키로 하면서 일선 경찰서 직원들이 동요하고 있다.
효과적인 인력배치와 예산절감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곧 있을 정기인사를 앞두고 감축이 이뤄질 가능성이 커 각 부서와 직원들의 불만이 커질 전망이다.
대구·경북경찰청은 지난달 말께 일선 경찰서에 내근직 감축안을 통보하고 ‘경찰 내근직인원의 10%를 외근으로 전환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포항북부경찰서는 내근직 50명 중 5명을 외근인력으로 전환하는 것을 확정했다.
경비와 교통내근, 정보, 유치장, 여성청소년계에서 각 1명씩 차출됐다. 포항남부서는 경찰내근직 38명 중 4명의 이동을 확정했다.
대구중부경찰서와 동부경찰서도 각각 내근직 67명과 70여 명의 10%를 조만간 외근직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이는 등 대구·경북지역 일선 경찰서 대부분이 이 같은 감축안의 시행을 확정했다.
이처럼 감축안이 확정되자 경찰 내부에서는 불만과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감축안이 현실과 상관없이 무조건 10% 선을 맞추기 위해 ‘밀어붙이기’ 식으로 진행되면서 내부 갈등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또 늘어나는 업무로 지금도 일손이 부족한 상황에서 인원을 더 빼낸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는 여론도 일고 있다.
한 경찰관은 “매번 무조건적인 희생을 강요당하는 것은 하위직 경찰관들이다. 경찰조직이 상명하복 식의 위계질서가 있는 곳이라는 것은 알지만 총경급의 간부는 늘면서 하위직경찰들의 업무량만 늘어나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경찰관은 “내근직이라는 이유로 서별·부서별 특성을 고려치 않고 무조건 같은 조건으로 인원을 줄이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다. 각 부서의 문제점을 고려해 매년 조금씩 줄이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구경찰청 관계자는 “정원 감축안은 내근부서의 몸집을 줄여 수사, 교통, 지구대 등 민생 현장 중심으로 인력을 재배치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경찰관 1인당 봉급과 수당 등 인건비가 평균 5천108만 원이고 교육·시설비 등 부대비용이 1천772만 원임을 감안하면 치안 현장에 전국적으로 1천34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며 “직원들의 불만은 알지만 조직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도 외근직 전환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지난 12일 어청수 경찰청장은 기자간담회를 열어 “경찰의 내근 인력이 1만9천561 명인데 이를 10% 줄이고 지구대 등 현장에 재배치해 현장이 역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낙현·문석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