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운행에 있어서 빗길보다는 눈길, 눈길보다는 꽁꽁 얼어붙은 빙판길이 훨씬 더 위험하다.
운전자들이라면 대개 이때의 차바퀴 마찰저항이 낮음을 인식하여 조심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위험에 대비할 수는 있지만, 문제는 복병처럼 느닷없이 나타나는 부분적인 빙판길이다.
얼마 전 빙판길에서 미끄러진 버스가 지나가던 초등학생 두 명의 생명을 앗아 간 안타까운 일도 바로 이런 빙판길에서였다.
겨울철 운전에 있어 눈이 왔을 때 사고의 수적 증가는 많으나 인명의 손실은 의외로 작다.
그 이유는 지레 겁을 먹고 충분히 감속운행을 함으로 운전미숙으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해도 그 크기가 작아 인명의 손실은 적기 때문이다.
문제는 눈이 온 후 날씨가 개어 서서히 녹으면서 결빙 구간이 생기고 또 더 녹아 결빙구간이 적어질 때이다.
이때는 노면이 좋은 상태에서 갑자기 결빙 노면이 나타나 사고가 대형화되고 인명의 손실도 커진다. 따라서 사고의 건수는 줄어도 인명의 손실은 반대로 증가하는 것이다.
겨울철 그늘진 강변길이라든가 지열이 없는 교량, 이상바람을 유발시키는 터널의 입구나 출구에는 늘 결빙의 함정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운행 중 이러한 얼음 위를 통과할 경우에는 사전에 미리 감속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여야 하며, 급브레이크는 절대로 금물이다.
특히 겨울철 야간 운행 시에는 눈 깜빡할 찰나의 시간까지도 긴장하면서 운행하고 가능하면 차량의 인위적인 조작을 삼가고 타성으로 굴러가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겨울철 운전은 왕도가 없다.
스노타이어, 체인으로 중무장한다 해도 얼어붙은 빙판길에서는 대책이 없으므로 평소보다 속도를 충분히 감속해야 하며 앞차와의 안전거리도 평상시보다 2~3배로 길게 유지해야 한다.
특히 급출발, 급가속, 급제동, 급기어 변속은 삼가야 하며 브레이크는 노면상태에 따라 여러 번 나누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덕을 오를 때에는 낮은 기어로 오르는 것이 이상적이며 꾸준하게 올라가야지 추진력이 떨어진다고 함부로 기어를 변속하면 안 된다.
내리막길에서도 오르막에 쓰던 기어로 변속 없이 그대로 쓰는 것이 원칙이며 최대한 발 브레이크는 사용하지 말고 낮은 기어 선택에 엔진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에서 조심스럽게 내려가야 한다.
도중에 기어 변속을 하면 클러치를 끓는 동안 차가 미끄러져 방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기어변속은 금물이다. 운전대 조작은 고속 주행 시처럼 아주 조금씩 서서히 해야 한다.
겨울철, 특히 눈길이나 얼어붙은 도로에서의 직진주행은 더욱 어렵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네 개의 바퀴가 노면과 접지하는 힘이 일정해야 하기 때문에 급격한 운전대 조작이라든가 적절한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미끄러짐 현상 혹은 흔들림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안전유지가 매우 어렵다.
때문에 항상 전방을 주시하고 핸들이 흔들리지 않도록 운전자는 주의하여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빙판길 주행에 있어서 어떤 특별한 주행기술이 따로 있을 수는 없다.
얼어 있기 쉬운 여건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면서 감속운행을 생활화하는 운전자의 마음가짐이 겨울철 빙판길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운전의 지혜임을 잊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