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기행 에세이 작가 박시윤의 ‘ 경주는 흐른다 ’<br/> <1> 성덕대왕신종
‘마침내 신종이 완성되니 그 모양은 마치 산과 같이 우뚝하고, 소리는 용의 울음과 같았다. 위로는 하늘 끝까지 울려 퍼지고 아래로는 지옥에까지 스며드니 … 소리를 들은 사람은 복을 받을지어다.’
-성덕대왕신종 명문 중에서-
□ 범종 소리
‘둥~ 둥~ 둥~’, 사람들이 홀린 듯 한곳을 바라본다. 장중한 소리다. 맑은 음이다. 무념의 세계로 들어가듯 손을 모으고 눈을 감는다. 국적과 종교를 굳이 따지지 않고 그저 거룩한 마음으로 소리 앞에 서 있다.
막히지 않는 여음이다. 1200년을 살았다는 육중한 쇳덩이가 뿜어내는 소리다. 속인의 마음을 흔드는 소리다. 법계에 두루 임하여 깊고 어두운 무간지옥을 밝히며 축생의 고통을 떨치고, 지옥을 무너뜨리며 모든 중생을 바른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소리다. 어떠한 절정도 없이 삼라만상으로 장엄하게 스며드는 불음(佛音)이다. 여운은 또 다른 여운과 이어져 끝내는 저 멀고 아득한 피안의 세계로 우리를 이끈다.
경덕왕대 시작 771년 혜공왕대 완성
‘에밀레종’으로도 불리는 국보 제29호
어린아이의 인신공양 전설로도 유명
비천상 가운데 새긴 ‘1037자 명문’엔
제작 시기·이유·제작 관계자들 기록
커졌다 작아졌다 하며 이어지는 소리
바닥 울림통이 ‘맥놀이 현상’ 만들어
1975년 국립경주박물관에 오기까지
네번의 자리 이전 ‘고난의 역사’ 간직
□ 봉덕사와 성덕대왕신종
높이 3.75m, 지름 2.27m, 무게 18.9톤인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국보 제29호)은 법구사물(法具四物) 중 하나인 범종(梵鍾)으로 원래 ‘봉덕사종’으로 만들어졌다. ‘삼국유사’에 봉덕사는 성덕왕이 태종대왕을 위해 706년에 창건했다는 것과 효성왕(孝成王, 제34대 왕)이 부왕인 성덕왕의 복을 위해 738년에 세웠다는 두 가지 내용이 있다. 봉덕사종은 가장 오래된 상원사 동종(국보 제36호)과 함께 한국 최고의 범종으로 꼽힌다.
성덕대왕신종 주조는 왕명에 따른 거사였다. 경덕왕(景德王, 제35대 왕)이 부왕 성덕왕(聖德王, 제33대 왕)의 공덕을 기리고, 나라의 태평과 백성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만들게 했다. 그러나 경덕왕은 살아있는 동안 종의 완성을 이루지 못했다. 경덕왕이 죽고 8살의 어린 혜공왕(惠恭王, 제36대 왕)이 즉위 7년(771년) 되던 해에 완성해 봉덕사에 안치했다. 어찌 됐건, 종은 경덕왕이 부친을 위해 시주한 황동 12만 근으로 주조했기에 ‘성덕대왕신종지명(聖德大王神鍾之銘)’이라 하여 종의 몸체에 이같이 돋을새김해 놓았다.
□ 고단했던 여정
771년 주조된 성덕대왕신종은 조선기 들어 고난을 겪는다. 1424년(세종 6) 때 ‘전국 각 사찰에 있는 종을 거두어 다른 용도로 주성하라’는 명이 내려진다. 이때 경주 촌로가 신종만은 녹이지 말고 보전해 달라며 죽음 각오하고 상소를 올린다. 세종은 촌로에게 지필묵을 하사하고 ‘경상도 경주 봉덕사와 개성 유후사 연복사의 큰 종은 헐지 말도록 하라’는 명을 내린다. 이후 홍수로 북천이 범람하여 북천가에 있던 봉덕사가 폐사된다. 수풀에 버려지다시피 한 신종을 본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애석한 마음을 시로 남겼다.
절은 망해 모래와 자갈에 묻히고/ 이 물건은 잡초 덤불에 맡겨졌네/ 주나라 돌 북과 같이/ 아이들은 두드리고 소는 뿔을 가는구나/
<매월당시집> 권12 ‘유금오록’ 봉덕사종 중에서
1460년(세조 5)에 이르러 풀숲에 있던 종을 수습해 영묘사로 옮긴다. 그리고 50여 년 후인 1507년(중종 2)쯤 ‘경주부윤 예춘년이 종을 봉황대 옆으로 옮긴다. ‘동경잡기’에 군사를 모을 때나 성문을 여닫을 때 종을 쳤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지은 ‘종각중수기’에는 타종의 회수와 관리 규정을 기록해 놓았다. 밤에 다니는 것을 금지하는 인정(人定)에 28번, 통행금지가 풀리는 파루(罷漏)인 새벽 4시에 33번을 쳤다. 이밖에 도성 안에 화재가 나거나, 큰일을 알릴 때 종을 쳤다. 신종은 400여 동안 관종(官鐘)으로서 봉황대를 지켰다.
그러다 1915년 5월, 일제강점기 경주고적보존회에 의해 조선총독부 박물관 경주분관 인 옛 경주박물관(현 경주문화원) 종각으로 이봉한다. 하지만, 하나의 유물처럼 전시·관람의 대상으로 자리매김한 듯 타종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1975년, 현재의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지기까지 무려 네 차례나 자리를 옮기는 고단한 여정이었다.
이제 종은 소리를 내지 않는다. 2003년 개천절을 마지막으로 녹음된 소리로 대신한다.
□ 육중한 종, 어떻게 이봉했나?
한 장의 사진이 있다. 1915년 봉황대 옆에 있던 성덕대왕신종을 경주고적보존회 조선총독부 박물관 경주분관 인 옛 경주박물관으로 옮기는 모습이다.
사진 속 조선인은 삿갓, 갓, 패랭이를 쓴 남성과 치마를 입은 여인과 아이들이다. 모두 흰옷을 입었다. 오른쪽 여섯 명은 일본인이다. 순사와 감독자 및 관련 사람들과 하수인으로 보인다. 일본인은 모자를 쓰고 양장이나 제복을 입어 다소 위엄 있는 모습이다. 일본인은 감독자이고 조선인은 지렛대와 동아줄을 잡은 걸 보면 인부일 것이다.
변변한 장비가 없던 시절이었다. 종을 옮길 때 사용한 건 다름 아닌 통나무와 동아줄이다. 인부들은 흙길에 둥근 통나무를 침목처럼 깔았다. 종의 몸체 아랫부분에 동아줄을 둘러 묶고 줄을 나무 틀에 감았다. 그리고 연자를 돌려 종을 당겼다. 종을 통나무 위에 올리는 것도 쉽지 않았다. 한쪽을 쳐들어야 하는데, 자칫하면 무게가 반대로 쏠려 넘어질 수도 있는 일이었다.
가까스로 종을 통나무 위에 올렸다. 장정들의 함성과 함께 종은 조금씩 통나무를 밟고 앞으로 나아갔다. 통나무를 옮겨가며 밀고 당기기를 1달, 드디어 보존회에 도착했다.
봉황대 종각에서 보존회(현 경주문화원)까지 약 400m의 거리, 그리 먼 거리가 아닌 듯해도 18.9t의 쇳덩이를 변변한 장비도 없이 옮기자면 무척 고단했을 것이다. 그렇게 보존회로 옮긴 신종은 60년 후인 1975년 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아이를 공양해 만들었다는 에밀레종
성덕대왕신종의 또 다른 이름은 ‘에밀레종’이다. 어머니를 부르는 어린아이의 슬픈 소리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전하는 이야기에 종을 만들어도 소리가 나지 않자, 아이를 넣었더니 소리가 났다는 것이다. 그러나 ‘삼국유사’나 신라의 전설이 망라된 ‘동경잡기’ 어디에도 이런 이야기는 없다.
‘鐘(종)’, 한자를 보면 쇠 ‘金(금)’과 아이 ‘童(동)’이 합쳐진 글자다. 종을 만들 때 인(P)을 넣으면 주조성이 좋아져 종소리가 맑아진다고 한다. 인은 사람의 뼈에 많은 성분이다. 포항산업과학기술연구원에서 성덕대왕신종의 성분을 검사했으나 인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대신 다른 종에는 없는 0.2%의 유황이 검출되었다. 종이 1,200년 넘는 긴 세월을 견딜 수 있었던 건 바로 이 유황 성분일 것으로 본다.
그럼, 종을 만들 때 아이를 공양했다는 이야기는 사실일까. 아이를 공양해 종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중국에도 전해진다.
중국 베이징의 오래된 종을 모아놓은 고종박물관에는 이런 그림이 있다. 커다란 종을 만드는데 소리가 잘 나지 않자, 아이를 바치기로 했다. 아무것도 모르고 끌려가던 아이가 이글거리는 쇳물을 보자 발버둥을 쳤다. 아이 둘을 쇳물에 넣었는데 급히 넣다가 신발이 밖으로 떨어졌다는 내용이다. 종을 완성하여 타종하니 ‘신 달라’는 소리가 났다는 이야기의 그림이다.
□ 아름다운 문양
성덕대왕신종은 형태와 무늬, 주조기법, 소리에 이르기까지 예술적으로나 기술적으로나 세계 어디에도 빠지지 않는다. 종의 꼭대기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과 종을 매다는 고리인 용뉴(龍<9215>)가 있다. 음통은 한국 범종에만 있는 독특한 구조다. 용뉴의 용머리 조각은 제왕적 위엄을 나타낸다.
종신 위쪽에는 네모난 띠 모양의 연곽(蓮廓)이 있고, 연곽 내부에 연꽃 봉오리를 규칙적으로 새긴 연뢰(蓮<857E>)가 있다. 종을 치는 부분에는 연꽃 모양의 당좌(撞座) 두 개를, 그 사이에 네 구의 비천(飛天)을, 그리고 마주 보는 비천 사이에 명문을 새겼다. 종신의 상단과 하단에는 넝쿨무늬 띠를 새겼다.
연꽃 위에 무릎을 꿇은 공양비천상(供養飛天像)은 돌출되게 새겼다. 서로 마주 보는 두 쌍이 모두 명문을 향하고 있다. 하늘을 바라보는 얼굴에 눈코입이 없어도 존경의 눈빛과 경건한 언어를 짐작게 한다. 향로를 받쳐 든 두 손에는 부처의 높은 덕을 찬양하는 듯 거룩함이 묻어난다. 천의(天衣)와 영락(瓔珞)은 유연하게 하늘을 향하고 덩굴풀이 꼬여 뻗어가는 당초(唐草) 모양의 구름은 하늘거리며 피어오른다. 가인의 자태처럼 보드라운 선의 흐름에 아득한 속살거림마저 묻어난다.
당목이 종신을 때리는 2개의 절제된 연꽃무늬 당좌(撞座) 역시 크고 선이 활달해 대담한 인상을 준다.
비천상 가운데 명문이 있다. 총 1037자로 왕의 지시를 받고 한림랑 김필해가 종의 이름을 지었다는 것과 제작 시기, 제작 이유, 종의 의미, 주조에 참여한 여덟 명의 이름과 관직, 기술자 네 명의 직책과 이름을 기록했다.
종의 바닥엔 울림통을 파 놓았다. 울림통은 소리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며 끊어질 듯 이어지는 맥놀이 현상을 만든다.
‘둥~’ 소리는 어디서 생겨나 어디로 가 어디에 머무는가. 가히 측량키도 어려운 깊이와 무게로 다가오는 여운, ‘둥~’ 웅장한 타격음과 함께 대지를 밀치듯 하늘을 울리듯 뻗어간다. 어떠한 매듭도 없이 그저 천지로 뻗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