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구미, 산업도시 이미지 벗고 낭만과 문화가 흐르는 도시로

김락현기자
등록일 2024-05-21 19:48 게재일 2024-05-22 11면
스크랩버튼
주요 도심에 대형 조형물 설치해<br/>방문객들에 환영 메시지 전하고<br/>도시경관도 한 단계 업그레이드<br/>길이 1㎞ 산책로 ‘비산나룻길’은<br/>아름다운 강가 풍경에 힐링타임<br/>큰고니 아름다운 ‘지산샛강 공원’ <br/>황토 맨발길 추가 연장 새 ‘핫플’<br/>화려한 야간 경관조명 어우러져<br/>시민에 ‘야경맛집’으로 소문자자<br/>도내 최다 홀수 파크골프장 보유<br/>낭만야시장·금리단길 인기몰이
청춘 금오천 벚꽃 페스티벌 - 구미시 원평동 금오천 일원에 조성된 야간 조명.

구미시가 민선 8기에 들어서면서 산업도시의 의미지를 벗어내고 낭만과 문화가 흐르는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공공디자인과 지역 특색을 살린 참신한 콘텐츠로 구미만의 색깔을 입히면서 시민들의 호응과 더불어 도시의 이미지를 바꿔가고 있다.

구미의 주요 도심에는 새롭게 설치된 대형 조형물들이 방문객들의 이목을 끌고, 야간경관을 활용한 수변공간 조성, 특색있는 관광·스포츠 인프라 확충을 통해 회색도시 이미지를 벗고 역동적이고 매력적인 도시로 변화 중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지역 특색을 살린 새로운 시도들이 호응을 얻으며, 무미건조했던 산업도시 구미의 색깔이 바뀌고 있다”며 “앞으로도 구미의 지속적인 변화와 다채로운 매력 발산을 기대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공디자인도입 - 시민운동장 앞 광장에 설치된 ‘승리의 주먹’.
공공디자인도입 - 시민운동장 앞 광장에 설치된 ‘승리의 주먹’.

□ 구미만의 대형 조형물…도시경관 업그레이드

올해 경북도민체육대회를 개최한 구미시는 6년 만에 종합우승을 달성하며 대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대회를 준비하며 도시 주요 길목에 대형 조형물을 설치해 도시경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 도시의 관문인 구미IC 진출로에 대형 ‘WELCOME GUMI’ 조형물을 설치해 방문객들에게 환영 메시지를 전하고, 시민운동장 앞 광장에는 선수들의 열정과 노력을 상징하는 ‘승리의 주먹’을, 운동장 전면에는 넓이 67m의 초대형 입체조형물로 이목을 끌었다.

경기장 앞 회전교차로에는 다이내믹한 육상경기 조형물도 설치했다. 각각의 조형물에는 경관조명이 있어 야간에도 아름다운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시는 앞으로 주요 장소에 미디어 콘텐츠가 담긴 대형 조형물과 서울에서나 볼 수 있었던 ‘미디어아트 월’도 추가 설치해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비산나룻길 - 지난 2월 개방한 낙동강 탐방로 ‘비산 나룻길’.
비산나룻길 - 지난 2월 개방한 낙동강 탐방로 ‘비산 나룻길’.

□ 비산 나룻길과 지산 샛강 생태공원 명소화 사업

지난 2월 개방한 낙동강 탐방로 ‘비산 나룻길’은 비산 나루터에서 구미천 종점부까지 이어지는 길이 1㎞의 산책로로 총 55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수상 보도교와 데크길로 해당 구간을 연결했다. 낙동강을 따라 조성된 ‘비산 나룻길’은 강가의 아름다운 풍경과 잘 보존된 자연생태계를 감상하며 걸을 수 있어 구미의 새로운 힐링 공간으로 떠오르고 있다.

시는 낙동강과 구미천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갈대 습지 1.3㎞ 거리에 탐방로를 조성한다. 탐방로는 습지에 다양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만큼 상세한 계획 수립과 하천점용 등의 절차를 거쳐 올해 연말에 개방될 예정이다.

도심과 가까운 곳에 자리 잡은 지산 샛강 생태공원은 봄에는 벚꽃, 여름에는 연꽃, 겨울에는 천연기념물 큰고니의 도래 등 천혜의 자연을 시민들에게 선물하고 있다.

시는 전국 3대 천연기념물 큰고니를 상징하는 큰고니 부부 상징 조형물을 데크 광장에 설치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 황토 맨발 길 체험에 대한 수요 급증에 따라 지산 샛강 생태공원 기존 산책로에 황토 맨발 길 시범 구간(L=250m)을 조성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여기에 황토길, 황토풀, 황토볼, 세족장, 신발장도 설치했다. 올해는 황토 맨발 길을 추가로 연장(L=750m)해 다양한 체험 공간을 확충해 구미의‘핫 플레이스’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지산샛강생태공원 - 최근 야경 맛집으로 소문 난 지산샛강생태공원.
지산샛강생태공원 - 최근 야경 맛집으로 소문 난 지산샛강생태공원.

□ 야간경관 활용, 아름다운 야경 선물

시는 최근 자연과 빛, 조명이 어우러지는 수변공간과 도심 속 골목 정원 조성으로 시민들에게 아름다운 야경을 선물하고 있다.

지산샛강 생태공원 둘레길의 벚나무에 경관조명 250개를 설치하고 민들레와 초승달, 갈대 조명 등 특색있는 야간조명으로 야경 맛집으로 소문났다.

비산나룻길에는 165개의 핸드레일바 경관조명과 43개의 보안등을 설치해, 야간에도 화려한 조명과 함께 산책이 가능해 시민들의 야간산책 코스로 사랑받고 있다.

원평동 금오천 일원에는 옹벽의 실루엣과 어우러져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옹벽경관등과 벚꽃나무에 수목투과등을 설치해 금오천을 방문한 시민들에게 멋진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야간조도를 더 높이고 주요 길목에 미디어를 활용한 특화연출조명 설치로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선사할 예정이다. 금리단길(각산 마을) 골목길과 문화광장 등에 6개의 포토존과 디자인 가로등, 시간대별 다른 로고라이팅 연출로 거리경관을 개선했다.

또 마을 주민들이 자생적으로 가드닝팀(gardening-team)을 결성하고 골목 벽면과 유휴지에 장미와 화초를 심어 생동감과 향기가 있는 마을길을 조성했다.

산호대교에는 배면부를 특징적으로 표현하는 특화연출조명을 설치하고, 낙동강 체육공원에도 30억원을 투자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조형물과 미디어아트를 설치할 계획이다.

파크골프장 - 도내 최다 홀수의 파크골프장을 보유한 구미시.
파크골프장 - 도내 최다 홀수의 파크골프장을 보유한 구미시.

□ 파크골프장과 인조 잔디 야구장 조성

도내 최다 홀수의 파크골프장을 보유한 구미시는 지난 4월 지역 파크골프장 7개소(장애인파크골프장 포함)의 잔디보호 및 생육을 위한 휴장을 마치고 전면 재개장했다.

휴장기간 홀컵 주변 잔디 보식, 배토 작업, 잔디보호 매트 및 복합 잔디 설치, 주차장 차선도색 등 시설물 정비를 완료했다. 또 구미파크골프장의 재래식 화장실을 철거하고 수세식 화장실 3개소를 설치했다. 올해 총 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설 개선 및 이용자 편의증진 사업으로 최상의 파크골프장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구미대교 아래 낙동강변에 전국대회가 가능한 공인 규격의 인조 잔디 야구장(3면)을 지난 4월 개장했다. 기존 흙 구장 3면 야구장(3만6000㎡ 규모)에 총사업비 40억원을 투입해 인조 잔디, 휀스, 더그아웃, 본부석 등을 설치했다.

또 올해 지산 낙동강 체육공원에 인조 잔디 야구장 1면을 추가로 조성해 총 4면의 정규 공인 규격의 야구장으로 각종 전국 단위 대회를 유치해 스포츠 도시로써의 위상도 높여나갈 계획이다.

 

□머무르고 싶은 도시, 체류형 관광인프라 조성

회색 산업도시 구미에 낭만이 가득한 관광 인프라가 늘어나며, 머무르고 싶은 도시로 변하고 있다.

지난 4월 구미 원도심인 새마을중앙시장에서 개장한 낭만야시장은 개막 당일 3만명의 구름인파가 몰려 대박을 터트렸다. 다른 야시장과 차별화된 콘텐츠와 특색있는 메뉴로 인기몰이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전통시장 활성화와 원도심 부흥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심 속 힐링공간으로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지산샛강 생태공원은 맨발걷기와 아름다운 야경, 무인카페 고니벅스로 인기몰이 중이다. 지난 3월 벚꽃 개화 기간에만 6만명의 방문객이 찾았으며, 구미시민과 함께 인근 지역에서도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구미의 대표적인 젊은이들의 거리인 금리단길은 로컬 크리에이터와 협업해 북카페 거리로 조성하고 있으며, 전선지중화, 보행로 개선 작업을 통해 보행자 특화거리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 밖에도 구미의 교촌통닭 1호점을 테마로 한 특화거리 조성을 비롯해 진평동 먹자골목과 송정동 송정맛길 등 젊은 세대들의 입맛과 관심을 사로잡을 특색있는 문화거리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