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릉도U-Box  ‘내 손안에 문화유산’…미래발전 정책 우수발표 작품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23-10-15 13:04 게재일 2023-10-15
스크랩버튼

울릉도 미래 발전 정책 대안을 위해 총상금 3천800만 원을 걸고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모한 울릉 U-Box(아이디어 상자) 우수 작품 ‘내 손안에 울릉문화유산’을 알아본다.

Smart-info(스마트)팀 김경도 팀장, 손대원(독도박물관), 김진성, 김애진(관광문화체육실), 이혜영(환경위생과)팀원이 제시한 ‘내 손안에 울릉문화유산’은 관광트렌드 변화를 위해 제시됐다.

여행트렌드의 세터, 뉴제너레이션, 경험소비, 여행 액티비티의 확대, 소소한 여행(소확생, 가심비, 가시비), 모바일과 여행플릿폼 비즈니스진화, 누구나 즐기는 여행(은퇴~100세까지) 등 관광트렌드변화를 추진배경 및 목표로 설정했다.

또, 관광시민, 문화 가치 생각, 빅데이터가 여는 AI 관광시대, 방한 시장의 유동성과 다변화, 여행공간, 이동, 경험의 연계, 일상에서 만나는 비밀상 여행 등 관광트렌드변화에 맞추고자 제안했다.

스마트 팀은 아이디어 제안 방향설정을 문화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과 연계성, 빅데이터가 있는 AI관광, 모바일과 여행 플랫폼의 진화를 들었다.

울릉도 문화유산 현황분석을 지도와 함께 설명, 연구했다. 울릉도 189개의 문화유산 선정, 문화유산의 시각화 지리적 인식, 문화유산의 활용다변화를 주장했다.

문화유산의 속성 정보등록(빅데이터)으로 문화유산의 연대, 문화유산의 주요내용, 문화유산의 형태, 문화유산의 위치, 문화유산의 명칭, 문화유산의 주요 키워드를 제시했다.

안내판의 핵심 기능으로 정보전달, 공공디자인, 도시경관 조화, 전문성, 객관성, 문화유산가치를 들었다. 현재 울릉도 안내판의 한계도 지적했다.

안내판의 모듈화를 통한 관리 및 교체비용절감, 색각 장애보정 색채디자인, QR도입을 통한 스마트 안내판 구축, 공공디자인을 위해 같은 구성의 5가지 크기로 제한을 주장했다.

또, 스마트 안내판의 제안으로 부산 표준화 관광안내시스템 사례를 들었다, 부산은 2023년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레드닷 도시다자인 부분 본상을 받았다. 또한, 문화체육부 스마트 안내시스템사례를 제시했다.

시범적으로 바코드를 이용한 QR기반 스마트안내판(대풍감)제작 시안을 소개하기도 했다. 내 손안에 울릉문화 유산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제안하다고 했다.

관광과 모바일 플랫폼의 진화로 휴대폰을 이용한 AI기반 정보 이용의 편의성, 사용자중심의 선택과 집중, 모바일 플랫폼의 편의성, 빅데이터 기반 자료의 확장성을 들었다.

아이디어 종합 제안으로 울릉도 관광 활성화 및 전문화를 위해 QR기반 스마트 안내판 제작,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활용, 문화유산의 메타데이터 작성, 정보의 시각화 및 웹 페이지 구축, 울릉도 문화유산에 대한 분석이다.

스마트 팀은 기대효과로 울릉군 가치향상, 사회 취약계층 문화 접근성 향상, 울릉도 관광의 다변화,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시너지효과를 주장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