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럼은 피부에 나는 종기다. 종기라고 하지만 괴롭고 귀찮고, 더럽기도 한 고약한 병이다. 특히 옛날에는 더 그랬다. 많은 사람의 목숨까지 앗아간 무서운 병이었다.

뾰족하게 부어오른 작은 부스럼은 뾰루지, 목뒤 머리털이 난 가장 자리에 생기는 부스럼은 발찌, 풍열 때문에 볼 아래에 생기는 것은 볼거리라 부르는 등 종기는 생기는 부위마다 이름도 제각각이다.

우리의 선조는 이런 종기가 생겨나지 않게 정월 대보름날에는 새벽부터 일어나 부럼을 깼다. 밤, 잣, 땅콩 같은 것을 까먹고 깍지를 버리면 한 해 동안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믿었다. 종기가 얼마나 사람을 괴롭혔으면 이런 풍습이 생겼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현대의학이 발달한 요즘도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치병이 있으니 그 옛날에야 종기와 같은 질병이 준 고초가 얼마나 컸을까 짐작이 간다. “긁어 부스럼 만든다”는 우리 속담이 있다. 아무렇지도 않은 일을 공연히 건드려서 걱정을 일으킨다는 뜻이다. “가만있으면 중간은 한다”는 말과 뜻이 통하는 속담이다. 사용하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사서 고생한다”는 우리말도 일맥상통하는 표현이다.

사람이 살다보면 실수도 하는 법이고 잘하겠다고 했던 일이 어긋나 손해를 보는 일도 있다. 식자우환(識字憂患)이라는 말은 어설프게 알아서 걱정거리가 된다는 말이다. 우리 속담에 “아는 것이 병”이라는 말과 비슷하다.

정부 정책은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이 막중해 신중해야 한다. 최근 정부와 여당이 재난지원금 명목으로 전 국민에게 2만원의 통신비를 지급하려다 선별지급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유야 어쨌던 기대했던 일부 국민의 불평이 터져 나왔다. 사려 깊지 못한 정책을 밀다가 긁어 부스럼 낸 꼴이 됐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