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조각가 권군
개인전 ‘난, 무엇을 보는가’
22일~ 10월3일 포항청포도미술관
29일~10월8일 꿈틀갤러리

권군 조각가

“포항에서 뜨는 해는 태평양을 가로지르며 날아온 청량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일에서 지내는 4년이라는 시간동안 제일 그리웠던 것 중 하나가 포항 바다에서 뜨는 시원한 해였습니다. 포항에서는 너무 익숙한 바다 일출이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인 유럽에서는 볼 수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고 더욱더 향수가 짙어졌죠. 그래서 리스본이나 바다가 있는 도시를 가면 꼭 챙겨보던 게 바다에서 지는 일몰이었습니다.”

22일부터 10월 3일까지 포항 청포도다방 청포도미술관과 29일부터 10월8일까지 꿈틀갤러리에서 열리는 전시 ‘난, 무엇을 보는가’는 고향이 포항인 조각가 권군이 포르투갈 리스본 바다 일몰을 보면서 상상했던 포항 바다의 일출으로부터 시작된다. 전시 속, 태평양의 해를 맞이하고 따라가다보면 어느새 작가가 봤던 리스본의 일몰을 볼 수 있게 되며 관람객들은 길어진 해의 포물선 속에 놓여지게 될 것이다. 권군 작가를 포항 작업실에서 만나 이번 전시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봤다.

-전시 제목이 ‘난, 무엇을 보는가’인데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 부탁한다.

△사실 ‘난, 무엇을 보는가’의 ‘난’은 ‘나는’ 이라는 뜻과 ‘난초’의 ‘난’이라는 두가지의 의미가 들어있다. 난초의 난의 한자를 어원을 풀초<8279> + 문 문 門 + 동녘 동 東 = 난초 란 蘭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뜻은 풀은 풀인데 창문 가까이 동쪽에서 비추는 빛을 봐야 사는 풀이라는 뜻이다. 바로 아침 햇살을 비추면 꽃을 피운다는 아주 심오한 뜻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예로부터 동쪽의 햇살은 군자의 맑은 정신을 뜻하며 난초는 그런 생명력을 대표하는 식물로 선비들의 묵화로 그려지기도 했다. 다시 돌아와서, 나는 이 동해에서 떠오른는 햇살을 받으며 꽃을 피우는 난초를 전시에서 또 다른 주체로 놓아 보았다. 태평양을 가로질러 동해에서 뜨는 해, 그리고 유라시아 대륙을 쭈욱 날다가 대서양의 품으로 잠드는 해를 보는 ‘난’과 난초의 ‘난’이 같지만 또 다르게 묶였다 풀어지면서 전시 속에서 등장한다. 이는 내가 해 혹은 난초 등 살아있는 것들을 바라볼 때 일어나는 의식적 현상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그래서 전시 ‘난, 무엇을 보는가’는 ‘나는’이자 ‘난초’인 ‘난’이 무엇인가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겠다. 그 이야기 속에는 ‘난’이 그렇게 바라보게 된 사건, 바라보는 대상, 그리고 그 대상이 바라본 ‘난’들이 등장한다.
 

권군作 ‘태평양의 해, 도자기’
권군作 ‘태평양의 해, 도자기’

-말씀하신 ‘살아있는 것’들을 바라볼 때 일어나는 의식적 현상이 무엇이며, 그것을 전시로 보여주는 이유가 무엇인가.

△그 의식적 현상이란 내가 그냥 대상을 바라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도 나를 바라본다는 일종의 피드백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바라보았지만 바라봄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눈을 마주친다는 의미이기도 한데 살아 있는 것들과의 연결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를 표현하고자 하는 이유는 나 자신이 사람 뿐만아니라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은 하나의 ‘자기(Self)’로서 느끼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렇게 모든 것들과 마주할 수 있다는 것을 우린 근대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잊었다고 생각했고, 앞으로의 미래를 위해서는 다시 ‘자기’들과 마주하며 서로 피드백을 하며 살아가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들은 여태 해왔던 것처럼 다른 것들의 ‘삶’을 무자비하게 뺏어갈 것이지만 앞으로 ‘삶’ 그 자체를 잃을 것이기 때문이다.‘삶’을 되찾을 수 있는, 그런 ‘바라봄’의 방식을 제안하고 싶었다.

-전시가 전시1과 전시2로 청포도 다방과 꿈틀 갤러리서 구분돼 있던데 그 이유가 있나.

△전시1 청포도미술관에서는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리고 전시2는 도자기 조각작품들로 전시가 진행된다. 회화작품에서는 조각과는 다르게 이야기를 펼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전시1에서는 아무래도 전시 주제가 담긴 풍경, 자기(Self)들, 자기들과 바라볼 때 당시에 제가 느꼈던 감각을 펼쳐놓았다. 그래서 전시장을 한바퀴 돌아보시면 나의 머릿속에 담겨졌던 이미지와 감각들을 보실 수 있으실 것이다. 그와 다르게 전시2 꿈틀갤러리에서는 도자기들이 놓여있다. 이미지가 아닌 형체 즉 몸 가진 ‘자기(도자기)’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회화 작품의 이미지들이 ‘몸’을 갖게 된 상태이라고 할 수 있다. 조각 작품들은 펼쳐진 회화와는 다르게 응축되어 있어 사람들의 마음 속에 담기기가 쉽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보는이의 마음속에 품어진 ‘자기’들이 내면에서 어떤 작용을 거쳐 ‘바라봄’의 방식을 전환하는 ‘작품’이 되길 바란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권군 조각가는 홍익대학교 조소과 학사 및 석사를 졸업했으며, 독일 슈테델슐레에서 1년 과정을 수료했다. 독일에서 개인전 1회 및 국내외 다수의 단체전, 한국에서는 단체 ‘조각스카웃’의 멤버로 활동하면서 ‘조각스카웃’ 탈영역우정국 2017, ‘장르 알레고리-조각적’토탈미술관 2018, ‘모두를 위한 전시, 개를 위한 전시’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2020에 참여했다. 작가는 한국과 독일을 오가며 활동중이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