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청사 표방 포항환동해본부
역할은커녕 존재감조차 ‘미미’
소외감 증폭 동해안권 지자체
‘해오름’ 등 자체적인 유대 강화
통합신공항 완공될 시점 대비
포항공항 자생력 키우기 시급

경북도청에 이어 통합신공항마저 경북 북부권으로의 이전이 결정되자 동해안권 주민들이 상대적인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기회 삼아 포항공항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무산 위기에 몰렸던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지 선정 문제가 우여곡절 끝에 극적으로 타결됐다. 결론적으로 군위군 소보면·의성군 비안면 공동후보지가 선정된 것인데 이를 두고 각종 장밋빛 전망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이 발표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따르면, 통합신공항 건설로 지역에 미칠 경제적 파급 효과는 35조9천66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5조3천171억원이 증가할 전망이며, 취업유발효과도 40만5천544명으로 분석됐다.

분명 경북 전체로 보면 환영할 만한 소식이지만, 포항과 경주 등 경북 동남권 동해안 지자체들은 나름 쓰린 속내를 보이고 있다. 앞서 경북도청이 지난 2016년 2월 북부권인 안동·예천으로 이전하며 한차례 소외감을 겪었던 터라 이번 통합신공항 이전이 더욱 크게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당시 경북도는 문제를 인식하고 100만 경북 동남권 지역 주민의 민원 해결과 함께 동해안 발전전략을 구체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자 환동해본부의 포항 설치를 이끌어냈지만, 현 상황으로만 보면 환동해본부는 제2청사의 역할은커녕 존재감마저 없는 실정이다. 동남권 행정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8년 2월 설치됐으나, 해양 수산 분야에 국한된 업무적인 한계로 제2청사라는 본질적인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

대구경북통합의 측면에서도 이번 결정은 궤를 달리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대구경북행정통합에 뜻을 합치고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경북 동남권은 오히려 점점 고립되며 자체적으로 독립된 공동체로의 유대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이 바로 ‘해오름동맹’이다. 해오름동맹은 포항시와 경주시, 울산시가 구축한 초광역 경제권으로 상생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지자체는 정례적으로 지역을 번갈아 상생협의회를 열고 현안을 협의해 다양한 방안을 끌어내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해남부선 전동차 연장운행 공동건의문’을 채택하고 물리적인 거리를 더욱 좁히고 있다.

이 외에도 포항시·경주시·영덕군·울진군·울릉군 등 경북 동해안 5개 시·군으로 구성돼 비슷한 시기 출범한 ‘경북 동해안 상생협의회’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포항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통합신공항 완공이 이뤄지기까지의 기간 동안 동남권 관문인 포항공항이 자생력 확대 등 기반 다지기에 나서야 한다는 것. 이는 결국 포항공항이 대구를 비롯한 중부권 주민들을 두고 통합신공항과의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생각이 저변에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울릉공항의 건설 역시 변수다. 포항공항이 향후 울릉공항 완공 이후 노선 독점을 이뤄낸다고 전제한다면, 포항 공항의 이러한 몸집키우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포항시 관계자는 “경북 동남권 지자체는 이전부터 독립적인 경제권역으로의 성격이 강했다”며 “도청이나 통합신공항 이전으로 물리적인 거리가 더욱 멀어지긴 했지만, 이에 연연하기보다는 오히려 포항공항의 외연 확장에 더욱 힘을 쓰는 것이 현재 상황으로서는 최선이다”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