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카의 ‘변신’을 다시, 읽다

프란츠 카프카
프란츠 카프카

인간이 언어를 만들고 그 언어를 가지고 눈에 보이는 세계와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그려내기 시작하면서부터 ‘인간’의 ‘인간성’을 규정하는 것은 가장 큰 과제였다. 오래전 그리스 비극의 사례로까지 올라갈 필요도 없이, 우리가 ‘문학’이라는 대상 속에서 느끼는 일말의 휴머니즘의 기운이 그러하고, 최근 문학 불황의 시대에 파편화된 인간성에 대한 이해에 대한 당혹감을 통해서도 역설적으로 증명된다.

인간은 무엇을 위해서 사는가, 단지 생존만을 위해 산다고 한다면, 여타의 동물들과 다른 점이 무엇인가. 지금까지 인간이 문학을 창작해온 과정은 언어를 가진 인간이 던질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부친을 살해하고 모친과 결혼한다는 금기를 피하기 위해 몸부림치다 결국 운명을 피할 수 없다는 서구 비극의 모티프가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압도적인 영향을 주는 까닭은 인간이 인간다움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계된다.

여타의 동물과 구분되는 인간의 윤리를 지키는 것이 인간다움인가, 아니면 그것을 지키고자 애쓰지만, 결국 신의 섭리에 압도되는 한계를 만나는 것이 인간다움인가. 이 간단하지만 모두가 고민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시대를 통해서 반복될 수밖에 없는 까닭은 인간성의 규정이란 한 번의 창작으로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 세대를 새롭게 바꾸면서 새롭게 확인하지 않으면 안 되는 대상인 까닭이다.

한편, 죽느냐 사느냐 하는 문제를 고민했던 햄릿의 가장 인간다운 고뇌는 어떠한가. 우리가 그 고뇌에 깊이 공감할 수밖에 없는 것은 단지 생존만이 인간임을 증거하는 유일한 가치가 아닌 까닭이다. 그러니 결국 인간이 세워 올린 문학은 애초부터 인간의 인간성에 대한 규정의 문제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물론, 인간다움에 대한 문학의 규정은 단순히 그것이 어떤 가치를 갖는가 하는 것에 대한 순진한 서술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문학에서 이뤄지는 인간성에 대한 규정은 언제나 극단적인 비인간성에 대한 반대급부로 주어지게 마련이다. 그것이 아니고서 인간은 인간다움의 영역을 체감할 수 없는 것이다. 대개의 휴머니즘의 문학이 ‘전쟁’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비롯되는 것은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또, 어느 날 아침에 벌레가 되어 버린 카프카의 ‘변신’속 주인공 ‘그레고르 잠자’는 어떠한가. 그가 벌레가 된 것은 결코 ‘은유’가 아니었다. ‘은유’ 즉 ‘메타포(metaphor)’는 인간이 언어를 통해 외부 세계를 규정해온 표상의 기술 중 하나였으니, 인간이 외부 세계를 인간화된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전쟁 속에서도 피어나는 꽃’ 같은 은유가 결국 인간성을 표상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은 자명하지 않은가.

단지 비-인간성에 대한 은유가 아니라 진짜 벌레가 된 이 작품 속 주인공을 보고서 독자 모두가 느꼈을 놀람과 충격은 분명히 일종의 부조리에 닿고 있다. 분명 그것은 언어화되지 않는 물질적인 당혹감이다. 메타포의 기술에 익숙한 인간은 어떤 언어를 할애하더라도 규정하기 어려운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나 알베르 카뮈의 ‘뫼르소’의 파편화된 맥락과 닮아 있다.

하지만, 그는 왜 벌레가 되었는가 혹은 카프카는 이 상황을 통해서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가 하는 물음에 이르게 되면, 독자의 해석은 다시 ‘인간다움’이라는 문제와 마주할 수밖에 없게 된다. 마치 순수한 악이나 폭력 같은 비윤리적 신화를 마주하고서 충격을 받은 인간이 다시 어떻게든 그것을 인간다움으로 봉합할 수밖에 없는 것처럼.

그러니, 문학에서 인간다움에 대한 규정이 여전히 중요한 과제인가, 묻는다면, 인간이 언어를 세계 표상의 도구로 쓰는 한 그럴 수밖에 없다고 답해야 한다. 인류가 가진 어쩌면 가장 비인간적이고 가장 비언어적인 작품일 카프카의 ‘변신’이 그렇게 말하고 있다.

/송민호 홍익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