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월장(越墻)의 추억

등록일 2024-12-08 19:29 게재일 2024-12-09 19면
스크랩버튼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김규종 경북대 명예교수

요즘 청년 세대는 ‘월장’이란 어휘가 낯설 것이다. 사전적인 의미로는 담장을 뛰어넘는 것을 가리킨다. 어떤 이는 ‘월담’이란 말을 쓰기도 하는데, 그것은 한자어 ‘월(越)’과 담벼락을 뜻하는 한글 ‘담’자를 합성한 다소 괴이쩍은 조합이다. 그러므로 한자어 그대로 ‘월장’이라고 쓰는 것이 어법상 옳다고 생각한다. 기초적인 한자어는 읽을 줄 알아야 우리말이 더욱 풍성해진다는 자명한 이치를 한글 전용론자들이 수용할 때도 되지 않았나, 한다.

학부 시절, 날마다 지구 자전축이 심하게 흔들림을 느껴야 했던 시절 이야기다. ‘흔들릴 때마다 한 잔’이란 제목의 주간지 소설에 마음을 주었던 때 일이다. 야간통행금지가 일상화되었던 시절, 제주도와 충청북도를 제외한 대한민국 전역은 자정부터 새벽 4시까지 시민들의 통행이 엄격히 금지돼 있었다. 어기면 경찰서 보호실로 직행해야 했던 암울했던 시절.

그날도 어김없이 몹시 흔들렸던 나는 새벽 4시가 넘어서야 대문 앞에 이르렀다. 너무 이른 시각이어서 초인종을 누를 수 없었기로 높지 않은 담장을 뛰어넘기로 한다. 이윽고 ‘쿵’ 하는 소리와 함께 마당으로 내려앉았다. 그런데, 아뿔싸! 이른 시각 화장실 가시던 아버지와 딱, 마주쳤다. 엉거주춤 인사드리자 아버지 말씀, “이제 오냐?!” 그 말씀이 지금도 생생하다.

그런 월장의 추억이 있던 내게 아주 낯선 장면이 휴대전화 화면에 잡힌다. 국회의장이 대한민국 국회의 담장을 뛰어넘는 기상천외한 장면이 눈길을 끌었다. 뭐지, 이것은?! 국회 의사당 출입구를 봉쇄한 대한민국 경찰 저지선을 뚫지 못한 60대 후반의 국회의장이 담장을 뛰어넘는 장면이었다. 어, 이거 우리나라야?! 합성사진이 아니라, 진짜 일어난 일이야?!

있을 법하지 않은, 아주 오래된 기억 속의 ‘비상계엄’이 선포된 그 기이한 밤, 나는 ‘한강의 문학 세계와 우리의 삶’이란 제목의 대중강연을 준비하고 있었다. 작업에 몰두하다 보니 저녁 먹는 것도 잊어버렸다. 어설픈 파워포인트 작업을 하다가 느닷없이 울려대는 카톡 신호음에 눈길이 간다. ‘이거, 정말이야?!’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30분 무렵 풍경이다.

아주 많은 대한민국 시민들이 그랬던 것처럼 나 역시 새벽 4시 무렵이나 되었을 때 자리에 누웠다. 근근이 자료준비를 마쳤으나, 잠이 올 리 없잖은가! 3시간도 채 되지 않아 눈이 절로 떠진다. 창밖으로 보이는 시퍼런 하늘빛이 참으로 고왔다. 마당에 내려앉은 흰 서리와 조화를 이룬 그날 아침 세상은 형언하기 어려울 만큼 아름다운 것이었다.

심호흡하고 묵상에 잠긴다. 1980년 5월 28일 새벽 비상계엄 아래 놓여있던 전남도청 시민들이 보았던 하늘도 이렇게 고왔을까, 생각한다. 전날 밤 80만 발의 실탄을 지급받은 공수부대원들도 그 하늘을 보았을까, 생각한다. 그들이 전남도청에 난입하여 여린 목숨들을 학살할 때, 그들 내부에는 어떤 느낌이 찾아왔을까, 생각한다.

만일 어젯밤 심각한 사태가 발생하여 비상계엄이 관철되었다면, 오늘 아침 하늘이 이토록 아름답게 다가왔을까, 생각한다. 월장을 감행한 국회의장 사진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