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람들

사공정규 영남대 의대 총동창회장

영남대 의대 총동창회는 지난 14일 정기총회를 열고 신임 회장으로 사공정규(동국대 의대 정신겅강의학과·사진) 교수를 선출했다.이날 정기총회는 300여 명의 동문과 내외귀빈들이 참석한 가운데 영남대 의대 죽성강의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열렸으며 사공정규 교수를 만장일치로 추대했다.신임 사공정규 회장은 1989년 영남대 의대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영남대 의료원에서 인턴,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과정을 수료 후 1994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했다.영남의대 정신건강의학과교실 동문회장, 영남의대 5회 동기회장, 영남의대 총동창회 부회장(2017년~2022년), 하버드의대 우울증임상연구원 ·방문교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구경북지부학회 회장,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복지문화분과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대통령직속 자문기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교육부 위(Wee)닥터 자문의 대표, (사) 대한민국힐링문화진흥원 이사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신건강국가책임제추진특별위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동국대 심신의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중이다.신임 사공정규 회장은 “영남의대 동문께서 총의로 주신 총동창회장직의 명령을 겸허히 수락하며 동문 3천명 시대의 영남의대 총동창회장으로서 큰 영광과 기쁨이며 동시에 더 큰 책임감과 소명감을 느낀다”며 “이번 2023∼2024년 회기 영남의대 총동창회의 슬로건은 ‘모두를 위한 다리, 영남의대 총동창회’로 정해 영남의대 총동창회가 모두를 위한 든든한 다리가 되겠다”고 말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2023-01-15

신광호 LH 대구경북지역본부장

신임 LH 대구경북지역본부 신광호(사진·56) 본부장이 3일 취임식을 하고 업무를 시작했다.신임 신광호 본부장은 대구 출신으로 대륜고와 경북대를 졸업하고 1990년 한국토지공사에 입사한 후 공간정책사업 부장, 스마트도시개발 처장, 단지기술 처장, 신도시사업2처장 등 공사 내 주요보직을 두루 거쳤다.신 본부장은 앞으로 △주거복지 강화, 지역균형발전 등 핵심정책 성과 창출 △ 도시·주택 품질 제고 △ 투명성 및 안전 강화, 조직 효율성 개선 등 체감 가능한 혁신노력을 바탕으로 지역민과 신뢰를 구축해 가겠다고 선언했다.또 금리상승, 심리위축 등으로 경기둔화 지속 우려 확산 속에 지방쇠퇴, 가용용지 고갈 등 지역현안에 대해 지역 맞춤형 성장거점 조성, 경제기반 확충, 낙후지역 정주 여건 개선 등 공공기관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경기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담당하는 등 지역의 자생력을 강화하는데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어 지자체, 관계기관, 지역민과 업무 전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의견을 반영해 낭비를 제거하고 상품성과 서비스를 개선하는 등 성과와 혁신, 공감을 달성해 나갈 것을 직원들에게 당부했다.신임 신광호 본부장은 “대구경북 지자체 등 이해관계자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지역현안 해소, 주거복지,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및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헌신 하겠다”며 부임 각오를 밝혔다. /김영태기자

2023-01-04

사공경렬 하이자산운용 대표이사

DGB금융그룹 계열사인 하이자산운용은 지난달 30일 임시이사회와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DGB금융지주 그룹임원후보추천위원회에서 최종 추천된 사공경렬사진 후보자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임기는 2023년 1월 1일부터 2년간이다.1962년생인 사공경렬 대표는 1989년 대한투자신탁에 입사해 대한투자신탁운용을 거쳐 하나UBS자산운용에서 마케팅본부장, 전략 및 실물자산본부장. 관리본부장(위험관리책임자 겸직) 등을 역임하며 33년 이상 자산운용업계에서 영업·운용·관리 및 리스크 관리업무 등을 두루 거친 업계전문가다.사공경렬 대표는 취임사를 통해 “하이자산운용은 2016년 DGB금융그룹에 편입돼 2020년 종합자산운용사 인가로 성장기반을 확보했다. 이제는 새로운 도약이 필요한 시기”라며 “상품경쟁력 제고, 운용경쟁력 제고, 대체투자펀드 영업기반 확대,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 ‘One Firm, One DGB’ 문화 정착 등 다섯 가지 사항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고 말했다.이어 “끝나지 않은 팬데믹, 우크라이나 전쟁, 급격한 금리 인상, 부동산 경기 하락 등 불투명한 경제 환경이 금년에도 호의적이지 않지만, 기존의 우수한 트랙 레코드를 바탕으로 운용자산의 외형 확대, 재무지표 개선, 경영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올해를 ‘하이자산운용 제2의 도약’을 위한 원년으로 삼고자 한다”고 강조했다./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