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공간 재구조화법 시행 대응 및 지역 맞춤형 계획수립 역량 강화
경북도가 지난 28일 ‘경북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시행계획 수립 지원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에 맞춰 도내 시·군의 실무 역량을 강화하고, 농촌공간의 체계적 관리와 지속 가능한 재생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경북도 및 도내 23개 시·군의 농촌공간계획 담당 공무원, 농촌공간기초지원기관, 한국농어촌공사, 관련 용역사 등 약 10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행사에서는 농촌공간재구조화법의 주요 내용과 제도 변화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전국의 우수 공간계획 사례가 공유됐다. 참석자들은 각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실행 전략과 협력 방안을 함께 고민하며, 실질적인 계획 수립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이환범 경북농촌공간광역지원기관장은 “이번 세미나는 시·군 담당자들이 법 시행 이후 변화된 제도와 계획 수립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고,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강화하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광역지원기관이 중심이 돼 시·군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실질적인 계획 수립과 실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적·컨설팅 지원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 역시 “농촌공간 재구조화는 단순한 개발사업이 아니라 지역의 미래를 새롭게 설계하는 일”이라며 “이번 세미나가 농촌공간정책의 방향성을 공유하고 현장 중심의 실천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경북도는 시·군이 지역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제도적·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한편, 경북도는 앞으로 농촌공간광역지원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시군의 계획 수립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농촌 정주 여건 개선과 지역 활력 제고를 위한 협력의 장을 이어갈 방침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