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 APEC 한미·미중 정상회담으로 판 커진다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10-24 09:49 게재일 2025-10-25 6면
스크랩버튼
한·미 정상, 29일 경주서 회담··· “새로운 한·미 제조·무역 동맹” 논의
트럼프, 1박 2일 방한 일정 확정··· 루이지애나 제철소·리튬·AI 공급망까지 포괄 협력 전망
Second alt text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제공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9일 경주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다. 백악관은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일정을 공식 발표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29일 오전 부산을 통해 입국해 이재명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가진 뒤 APEC CEO 오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저녁에는 정상 실무만찬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복수의 한국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 정상회담 본행사는 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주에서 진행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은 지난 8월 워싱턴 회담 이후 두 달 만으로, 한·미 정상 간 두 번째 대면이다.

지난 8월 백악관에서 만난 한미 정상. /백악관 제공

△ 500조 원 규모 ‘대미 투자 패키지’ 타결 초읽기

이번 정상회담의 최대 관심사는 양국이 추진 중인 3500억 달러(약 500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협상이다.
현금 투자 비율과 자금 공급 기간 등이 막판 쟁점으로 남아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최종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특히 포스코그룹의 루이지애나 제철소 합작 투자, 유타 리튬 직접추출(DLE) 실증사업, 북미산 LNG 장기 구매계약 등이 ‘경제동맹의 구체적 모델’로 언급된다. 이 대통령은 “한·미 협력의 무게중심을 안보에서 첨단산업과 공급망으로 확장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회담 결과가 곧바로 산업 현장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 트럼프, APEC CEO 오찬 연설·실무 만찬 참석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 일정 중 APEC CEO 오찬에서 ‘리쇼어링과 제조업 르네상스’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그는 “미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가장 굳건한 제조 파트너”라며, 미국 내 산업 재건을 위한 한·미·일 삼각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녁에는 APEC 정상 실무 만찬에 참석해 주요국 정상들과 글로벌 공급망, 인공지능(AI) 산업 규범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

△ 미·중 정상 연쇄 회담··· 희토류·관세·농산물 쟁점 논의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일정을 마친 뒤 30일 오전, APEC 회의에 참석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양자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양국은 희토류·관세·대두(大豆) 등 무역 갈등 핵심 이슈를 놓고 협상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미·중 무역 대립 속에서 한국이 ‘중간 가교’ 역할을 강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Second alt text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연합뉴스 제공

△ “한·미 동맹, 안보 넘어 경제동맹으로 진화”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회담은 한·미 동맹 75주년을 맞아 전략·산업·기술 동맹으로의 확장을 공식화하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방한은 말레이시아–일본–한국–중국 순방의 세 번째 일정으로, 그는 24일 워싱턴을 출발해 26일 말레이시아에서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와 회담하고, 28일 도쿄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회담한 뒤 경주로 향한다.

정상회담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밤 워싱턴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APEC 본회의(31일~11월 1일)는 불참하지만, 한·미·중 정상 간 연쇄 회담을 통해 동북아 경제질서의 재편 흐름을 주도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이 리튬–철강–AI–에너지–공급망으로 상징되는 차세대 산업 동맹의 서막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있다.
경주 회담이 한·미 경제협력의 ‘APEC 전야제’ 역할을 하며, 미국 제조업 르네상스와 한국 첨단산업 전략이 맞물리는 장면이 될지 주목된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