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 정신을 재해석, AI시대 새로운 새마을운동 제시 싱가포르 DQ연구소와 협력, 디지털 격차해소 위한 표준교육모델 구축 UN·UNDP 등과 연계한 산하 국제기구 설립 및 유치도전
경북도는 23일 산업화 시대 대한민국 발전을 이끈 새마을운동의 근면·자조·협동 3대 정신을 AI 시대의 공동체적 가치와 상생의 철학으로 확장한 ‘새마을 AI운동’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새마을 AI운동’은 1970년대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끈 새마을운동의 핵심 가치인 근면·자조·협동을 디지털 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프로젝트이다. 디지털 격차 해소와 글로벌 디지털 윤리 확산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공동체를 구축하겠다는 경북도의 야심찬 비전이다.
이에 경북도는 23일 경주 보문단지 내 K-비즈니스 라운지에서 디지털 교육 국제표준기관인 DQ연구소(대표 박유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경북도는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국가 간 생산성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저개발국가를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과 윤리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AI 시대의 새로운 국제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경북도와 DQ연구소는 디지털 기술 경험이 부족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시범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결과를 분석해 국내 취업 등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 디지털 교육 인증 플랫폼을 공동 개발해 글로벌 확산을 추진한다.
특히 경북도는 향후 UNESCO, UNDP, IEEE 등 국제기구와 연계해 글로벌 디지털 역량 표준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지방정부 차원에서 국제표준 지정 및 국제기구 유치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산업화 시대에는 자본과 인구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했지만, AI 시대에는 디지털 역량과 윤리가 지역과 국가의 운명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며 “APEC 개최로 경주가 국제적 아젠다의 중심에 서는 기회를 잘 활용해 글로벌 디지털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DQ연구소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디지털 교육 및 정책 분야의 글로벌 연구기관이다. 2019년 디지털지능(DQ: Digital Intelligence Quotient) 국제표준 보고서를 수립하고, 디지털 인재 10억 명 양성을 목표로 활동 중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