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학생·학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진학클러스터’ 체제 강화
경북교육이 올해 진학지원 운영 실적과 2026년 프로그램 계획을 발표하며, 공교육 진학지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특히 AI 기반 진학지원 시스템과 교사·학생·학부모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진학클러스터’ 체제는 경북형 진학지원 플랫폼을 전국적 모델로 부상시키고 있다.
21일 경북교육청에 따르면 ‘현장이 바뀌면 입시가 바뀐다’는 철학 아래 교사를 진학지도의 핵심 주체로 세우는 데 집중했다. 이를 위해 2026 대입 진학지도 연수(450명), 입학사정관과의 대화(11개 대학, 256명), 모의서류평가 연수(고려대, 건국대, 경북대, 동국대 등 467명), 2028 대입 대비 관리자 연수(193명), 경북진학지원단 워크숍(상·하반기 2회) 등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학생 지원은 ‘개인 맞춤 상담→진학 캠프→박람회→정시 집중 상담’의 흐름으로 운영되며, 권역별 대입상담실(1707건), 학생부종합전형 캠프(396명), 제시문 기반 면접 캠프(50명), 의예과 MMI 모의면접(33명), 찾아가는 1:1 맞춤형 컨설팅(43교, 678명), 2026 대학 진학 경북 박람회(102개교, 13,500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한 학부모는 “아이의 성향에 맞춘 1:1 상담 덕분에 지원 전략이 명확해졌다”며 “공교육 진학지도만으로도 충분히 대비가 가능함을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학부모 대상 프로그램도 강화됐다. 학부모 설명회(783명), 진학아카데미(824명), 원격연수(1572명 이수), 네이버 밴드 ‘대학가는 길’(회원 1만289명), 권역별 대입상담실(1707건) 등을 통해 가정과 학교가 함께하는 진학지도를 실현했다.
임종식 교육감은 “단순한 입시 안내를 넘어, 교사와 학생·학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진학클러스터에 AI 기반 진학시스템과 경북형 모의고사 등 혁신적인 지원 체계를 아우르는 진학지원 플랫폼 구축으로 공교육 진학지도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고 있다”며 “모든 학생이 자기 적성과 진로에 맞는 대학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진학의 모든 순간을 함께하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진학지원센터는 2026학년도에도 정시 대비 상담 주간 운영, 대학 연계 전공 탐색 프로그램, AI 기반 진학 설계 시스템 고도화, 교원-대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진학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