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형 공동영농 농식품부 국비 시범사업으로 도약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10-21 10:50 게재일 2025-10-22 3면
스크랩버튼
2026년 전국 6개소 선정····2030년까지 100개소, 2000억 원 투자
공동영농 확산 위해 컨설팅, 기반정비, 기계·장비, 마케팅 등 종합적 지원

경북도가 선도한 ‘경북형 공동영농’ 모델이 정부의 농업대전환 핵심사업으로 채택되며 내년부터 국비지원 시범사업으로 추진된다.

21일 경북도에 따르면 2023년부터 역점 추진해온 ‘경북형 공동영농’이 농림축산식품부의 ‘공동영농 확산 지원’ 시범사업으로 선정됐다. 농식품부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국가책임을 강화하는 농정대전환(과제 69)’의 일환으로 2030년까지 공동영농법인 100개소를 육성할 계획이다. 그 첫걸음으로 내년에 6개소를 선정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사업은 2년간 1개소당 총 20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국비 50%, 지방비 40%, 자부담 10%의 재원 비율로 운영된다. 1년 차에는 전체 예산의 40%, 2년 차에는 60%가 투입되며 교육·컨설팅, 공동영농 기반 정비, 시설·장비 구축, 마케팅 및 판로 개척 등 공동영농에 필요한 전과정을 종합 지원한다.

특히 지역 특성과 농업 환경에 맞는 공동영농 모델을 유형화해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농지를 임대해 공동 경작하는 ‘임대형’ △농작업 수탁과 농지 임대를 병행하는 ‘혼합형’ △지주가 주주로 참여하는 ‘출자형’ 등으로 모델을 구분해 시·군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공동영농체계를 구축한다.

지원 대상은 20ha 이상의 농지를 확보하고 5인 이상의 농업인이 참여하는 농업법인이다. 쌀을 제외한 두류·서류·과수·조사료 등 다양한 식량작물 품목이 포함된다.

공모 참여를 희망하는 공동영농법인은 오는 30일까지 해당 시·군을 통해 경북도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경북도가 사업성 검토와 심의를 거쳐 11월 7일까지 농식품부에 추천한다. 농식품부는 서면 및 현장 평가, 발표 평가 등을 거쳐 11월 말 최종 사업대상지를 선정한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경북형 공동영농은 문경 영순지구를 시작으로 지주가 주주가 되는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이라는 독창적인 모델을 통해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면서 경북의 농업대전환을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