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정과제, ‘일차보건의료 기반 강화’와 함께 발맞춤 공중보건의 감소에 선제적 대응 및 통함돌봄 서비스 확대
경북도는 20일 고령화와 공중보건 인력 감소로 심화하는 의료 취약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6년부터 전국 최초로 ‘기능강화 보건진료소 시범모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85번)인 ‘일차보건의료 기반의 건강돌봄으로 국민건강증진’과 연계해 지역 주민의 건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고 의료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업의 핵심은 기존 보건지소 중 진료 기능이 약한 기관을 진료 중심의 보건진료소로 전환하는 것이다. 경북도는 현재 보건진료소에서 처방 가능한 약품은 약 90여 종에 불과한 범위를 확대해 만성질환자, 거동불편자 등 의료 취약계층을 위한 추가 의약품 구비와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진료전담인력 양성과 원격 협진 시스템 확대를 병행해 의료 인프라도 강화한다. 원격 협진은 전문의와의 실시간 연결을 통해 진료의 질을 높이고, 의료 인력이 부족한 농어촌 지역의 한계를 보완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도는 전담공무원에 대한 직무교육비와 시범사업 운영비를 직접 지원해 각 시·군의 보건지소와 진료소 기능을 통합하고 1차 보건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할 방침이다.
경북도는 또 건강증진사업과 통합돌봄 서비스를 각 지역 실정에 맞게 구성해 의료 효율성과 접근성을 동시에 높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16일에는 보건복지부에 관련 법령 개정과 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을 제출하고 사업 추진의 취지를 상세히 설명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이번 사업은 보건소, 보건의료원 등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체계 재정립과 농어촌 지역의 의료 격차 해소에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