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형 산림경영특구 지정 추진… 협업 경영으로 임업 수익 구조 전환
경북도는 13일 초대형 산불 피해지역을 단순 복구가 아닌 ‘소득형 숲’으로 바꾸기 위해 산림경영특구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 제정된 ‘산불피해지역 복구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면서 산림을 지역경제의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산주 1인당 평균 보유 면적은 2.7㏊에 불과해 개별 경영이 어렵지만, 특구로 지정되면 최소 300㏊ 규모의 단지화가 가능해 공동·협업형 경영이 가능해진다.
산림경영특구는 생산자 단체나 마을 단위 협업 조직이 중심이 돼 산림을 공동 관리하고, 구성원은 보유 면적에 따라 수익을 배분받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구에는 밀원수와 산채류 같은 소득 수종 재배와 임산물 가공·판매를 결합한 융복합 모델이 도입된다. 경북도는 산촌 체험 관광과 임산물 판매, 푸드존 운영 등을 연계해 산림을 지역 일자리와 소득의 원천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올해 의성군 점곡면 동변리 일원 약 500㏊ 규모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 지역은 2018년 선도 산림경영단지로 지정됐지만 초대형 산불로 대부분이 전소된 곳이다. 경북도는 산주들과 협의해 목재생산림과 특화 임산물 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봉화·울진 등 다른 산불 피해 지역으로 확대하고, 정부에 관련 시행령 반영도 건의할 방침이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산림경영특구는 피해 산림의 체계적 복원은 물론 임업인의 안정적 소득과 산촌 재생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핵심 제도”라고 말했다.
/이도훈기자 l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