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교육청 ‘학교폭력 피해·가해 학생 사후 모니터링’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10-13 10:58 게재일 2025-10-14 3면
스크랩버튼
피해·가해 학생 정기 상담 등 학생 정서 회복과 재발 방지에 초점
경북교육청 전경./경북교육청 제공

경북교육청은 13일 학교폭력 사안을 처리한 이후에도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과 폭력 재발방지를 위해 ‘학교폭력 피해·가해 학생 사후 모니터링’ 체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학교폭력 사안은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또는 학교장 자체 해결로 종결되면 사건이 마무리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피해 학생은 사건 이후에도 불안·우울·대인기피 등 심리적 후유증을 겪는 경우가 많고, 가해 학생 역시 징계만으로는 행동 변화나 재발 방지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경북교육청은 ‘사건 종결이 곧 해결은 아니다’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실질적인 회복과 공동체의 신뢰 회복을 도모할 방침이다.

사후 모니터링 제도는 학생들의 생활과 정서 회복을 중심에 둔 관리 체계이다. 피해 학생의 경우 심의위로부터 보호조치를 받은 학생 중 동의서를 제출한 경우에 한해 사안 종결 후 3개월 동안 정기적인 상담을 통해 정서 안정 상태와 2차 피해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가해 학생에 대해서는 6호 조치(사회봉사) 이상을 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반성의 정도와 재발 방지 의지를 점검하며, 생활 습관 개선 지도도 병행한다. 반복적인 가해 행위나 반성 부족이 확인되면 학부모 상담 및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개입이 이뤄진다.

갈등 조정, 공감 훈련, 의사소통 기술 향상 등 학생 간의 오해와 감정의 골을 해소하는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의 관계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에는 ‘관계 개선 지원단’과 전문 상담교사가 참여한다.

또 공동체 의식 강화, 배려와 존중의 문화 확산을 목표로 ‘관계 회복 학급 운영 프로그램’을 학급 단위로 도입해 학급 전체가 신뢰를 회복하고 안전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임종식 교육감은 “학교폭력은 단순히 징계로 끝나는 문제가 아니라 그 이후 학생들을 어떻게 지원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며 “사후 모니터링을 통해 학생들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