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대로 “방어적 대응일 뿐”···레어어스 수출규제 등 잇단 맞불
중국 정부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對中) 100% 추가관세 발표에 대해 “필요하고 방어적인 조치”라며 강력 반발했다. 동시에 미국에 협상 재개를 촉구하며 “고율 관세로 협박하는 것은 중국과 올바른 방식의 관계를 맺는 길이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로이터,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12일 성명을 내고 “미국의 잘못된 행위를 가능한 한 빨리 시정하라”며 “미국이 계속 행동을 이어간다면 중국도 자국의 합법적 권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1일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100%의 추가관세를 부과하고, ‘중요 소프트웨어’ 전반에 대한 수출 규제를 예고한 데 대한 공식 반응이다.
앞서 중국은 미국 조치에 맞서 △미국 선박 대상 항만 사용료 신설 △미 반도체 대기업 퀄컴에 대한 반독점 조사 착수 △레어어스(희토류) 등 핵심 광물의 수출규제 강화 등을 잇달아 내놓은 바 있다. 중국 상무부는 “이러한 조치는 금수(禁輸)가 아닌 관리 강화이며, 산업·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지난 9일에도 특정 레어어스가 소량이라도 포함된 제품은 앞으로 수출허가증을 받아야 하며, 희토류 정제와 자석 제조 관련 기술도 수출관리 대상에 포함한다고 발표했다. 국가안보를 이유로 든 이번 조치는 미국의 반도체 및 핵심기술 봉쇄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미중 간 통상갈등이 단순 관세전(戰)을 넘어 공급망·기술안보 전면전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협상이 재개되지 않을 경우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고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