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네이버·토스 등 민간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받으세요”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7-24 08:26 게재일 2025-07-25 6면
스크랩버튼
갤럭시 5개 앱·아이폰 일부 가능
실물과 동일한 법적 효력 발생
AI 시대 디지털 신원 인증 확대
Second alt text
23일부터 모바일 신분증이 민간개방된다.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정부가 모바일 신분증을 은행·플랫폼 앱으로 확대한 가운데, 국민은 이제 카카오뱅크, 네이버, 토스, 국민은행, 농협은행 등 주요 앱에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외국인등록증 등의 모바일 신분증을 직접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행정안전부는 23일 서울 성수동에서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오픈 행사’를 열고, 민간 앱을 통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개시를 공식 발표했다. 행사에는 윤호중 행안부 장관을 비롯해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뱅크, 토스,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한국조폐공사 등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종전까지는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과 삼성월렛에서만 발급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삼성 갤럭시(One UI 6.1 이상) 사용자에 한해 민간 5개 앱을 통해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다. 아이폰 사용자는 당분간 토스, 카카오뱅크 앱 등 일부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신분증은 발급자가 직접 실물 IC 신분증을 스마트폰으로 인식해 등록하는 방식이며, 암호화된 상태로 기기 내에 저장된다. 별도 서버에 보관되지 않아 해킹 우려가 낮고, 분실 시에도 생체인증 또는 앱 비밀번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어 보안성이 우수하다.

또한, 기존 실물 신분증보다 온라인·비대면 환경에서 신원확인이 용이하고,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예방 효과도 기대된다. 실제로 정부는 모바일 신분증을 비대면 금융 서비스의 표준 신원 인증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까지 약 670만 명이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았으며, 이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외국인등록증, 국가보훈등록증 등으로 실물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는다.

윤호중 장관은 “민간 기업들이 자사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제공함으로써 AI 시대에 걸맞은 디지털 신원 체계 구축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보안성을 충분히 검증한 앱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인증 기반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