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부진·불확실성 주요 요인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24일 발표한 ‘2025년 7월 기업경기조사’에 따르면 대구경북 제조업 기업심리지수(CBSI)가 95.4로, 전월(100.4) 대비 5.0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평균(100)을 밑돌며 체감경기가 위축된 모습이다.
세부적으로는 업황(-1.3p), 신규수주(-1.3p) 등 전 부문에서 지수가 하락했다. 다음달 전망지수 역시 91.9로, 6.2포인트 떨어졌다.
비제조업 CBSI는 84.3으로, 전월 대비 0.8포인트 내렸다. 다만 다음달 전망지수는 84.5로 소폭(0.1p) 상승했다. 채산성(-2.2p) 부진이 하락세를 이끈 요인으로 분석된다.
전국 평균과 비교해도 지역 기업의 체감경기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전국 제조업 CBSI는 2.5포인트 하락(94.4→91.9), 비제조업은 1.3포인트 상승(87.4→88.7)한 반면, 대구경북은 각각 5.0포인트 하락, 0.8포인트 하락했다.
업황BSI는 제조업에서 62로 전월보다 7포인트 하락했으며, 다음달 전망도 10포인트 하락한 61을 기록했다. 매출, 생산, 수주 등 전 지표가 동반 하락했다. 채산성(71)과 자금사정(77) 지수도 각각 5p, 1p 떨어졌다.
비제조업 업황BSI는 57로 2p 상승했지만, 채산성(59)은 7p 급락했다. 매출은 66으로 4p 올랐다.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내수 부진’(제조업 23.0%, 비제조업 26.9%)을 가장 큰 경영 애로로 꼽았다. 제조업은 ‘불확실한 경제상황’(18.9%)과 ‘수출 부진’(13.9%)도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으며, 비제조업은 ‘인력난·인건비 상승’(20.5%), ‘불확실한 경제상황’(18.6%) 등이 뒤를 이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