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시향 ‘2025 교향악축제’ 무대 미리본다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5-04-08 20:01 게재일 2025-04-09 14면
스크랩버튼
17일 대구콘서트하우스서… 백진현 음악감독·상임지휘자 지휘<br/>힌데미트 탄생 130주년 기념 교향곡 ‘세계의 조화’ 등 국내 초연
대구시립교향악단.
대구시립교향악단.

대구시립교향악단은 ‘새로운 음악의 기수’라 불린 20세기 독일 현대음악가 파울 힌데미트(1895~1963)의 탄생 130주년을 기념해 오는 17일 오후 7시 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그의 오페라 ‘오늘의 뉴스’ 서곡과 교향곡 ‘세계의 조화’를 국내 초연한다.

이번 공연은 ‘제514회 정기연주회’로, 대구시향이 19일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에 초청받아 선보일 작품을 대구에서 미리 만나는 자리이기도 하다. 백진현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가 지휘하고, 세계 명문 단체인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종신 단원으로 활동 중인 더블베이시스트 임채문이 로타의 ‘디베르티멘토 콘체르탄테’를 협연하는 이색 무대도 예정돼 있다.

1895년 독일 하나우에서 태어난 파울 힌데미트는 바이올리니스트이자 비올리스트, 작곡가, 지휘자로 활동했다. 초기에는 복잡한 불협화음과 불명확한 조성을 사용했으나, 이후 실용적이고 낭만적인 선율을 담은 작품을 만들었다. 그의 교향곡은 국내에서는 거의 공연되지 않아 실연을 접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구시향이 연주할 ‘세계의 조화’ 교향곡은 특별한 주목을 받을 만하다.

교향곡 ‘세계의 조화’는 힌데미트가 천문학자 케플러의 저서 ‘세계의 조화’를 읽고 영감을 얻어 동명의 오페라를 구상하던 중, 바젤 체임버 오케스트라로부터 25주년 기념 작품을 위촉받아 작곡됐다. 전 5막의 오페라보다 6년 먼저 세상에 나온 ‘프리뷰 모음곡’ 형태로, 삶의 고뇌, 사랑과 신념, 형이상학적 조화까지 다양한 이미지를 고전 양식 속에 현대적인 선율의 조화로 펼쳐낸다.

이날 첫 무대는 힌데미트의 오페라 ‘오늘의 뉴스’ 서곡으로 시작된다. 1929년 작곡 당시 유행처럼 번지던 불륜과 이혼 문제를 어느 신혼부부의 이혼 소동으로 풍자한 곡이다. 작곡가 자신은 이를 ‘유쾌한 오페라’라고 했지만, 초연은 실패했고 나치 시절에는 ‘타락한 예술’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혀 1954년 일부 장면이 수정됐다. 서곡에서는 목관악기의 빠른 선율과 카바레 풍의 멜로디가 등장해 오페라 전반에 흐르는 우스꽝스럽고 은밀한 분위기를 전달한다.

이어서 더블베이시스트 임채문은 니노 로타의 ‘디베르티멘토 콘체르탄테’를 협연한다. 영화 ‘대부’로 잘 알려진 로타는 다양한 클래식 작품을 남겼으며, 이 곡은 선율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20세기 음악이다. 전체 네 개의 악장이 연주되는 동안 현악기의 가벼운 리듬과 목관악기의 산뜻한 음향을 즐길 수 있다. 독주자는 고난도 기교를 요구하는 부분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기량을 발휘하며, 특히 마지막 악장에서 더블베이스는 화려하고 민첩한 고음을 선보이며 돋보인다.

백진현 대구시립교향악단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
백진현 대구시립교향악단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

임채문은 세계적인 지휘자 대니얼 하딩으로부터 “따뜻한 소리와 확고한 음악적 방향성을 가진 베이시스트”라는 찬사를 받았으며, 2022년 독일 안톤 루빈시테인 국제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더블베이스 부문 준우승을 차지해 주목받았다.

그는 한국예술종합학교와 베를린 국립예술대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쾰른 국립음대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수료했다. 또한, 독일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아카데미 단원, 예술의전당 국제음악제 SAC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수석, 로열 콘세르트허바우 오케스트라, NDR 엘브필하모니 등의 객원 단원으로 활동했으며, 솔리스트로서 바덴바덴 필하모닉, 울산시향, 제주도향, 포항시향 등과 협연했다.

대구시향은 이번 정기연주회 후, 같은 프로그램으로 이틀 뒤인 19일 오후 5시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는 ‘2025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에 참여한다.

올해로 37회를 맞는 이 축제는 국내 최대 클래식 음악 축제로, 4월 1일부터 20일까지 총 18개의 교향악단이 함께한다.

특히 이번 축제에서 대구시향의 힌데미트 작품이 어떤 사운드를 선사할지 전국 클래식 음악 애호가들의 관심과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