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 ‘웹진 담’ 4월호<br/>경희대 박현후 박사, 달표면 남병철 충돌구의 명명 의미 설명<br/>최유정 작가, 조선 풍속화서 발견한 과학 원리 삽화로 재구성
한국국학진흥원은 ‘과학으로 길을 찾다’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2025년 4월호를 발행했다. 과학은 우리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다. 이번 호는 과학의 날을 기념해 과학을 통해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열어보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경희대학교 우주탐사학과의 박현후 박사는 ‘달 표면의 남병철 충돌구는 어떻게 명명되었을까?’라는 글을 통해 달 표면의 충돌구에 조선시대 과학자 남병철의 이름이 붙은 과정과 그 의미를 설명한다. 남병철(1817~1863)은 서양 천문학을 전통 천문학과 융합해 정리하고, 혼천의를 개선한 과학자다. 박현후 박사는 달 자기장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이름을 갖지 못한 충돌구 중 하나를 ‘남병철 충돌구’로 명명했다. 지금까지 달 충돌구에는 주로 외국 과학자의 이름이 붙어왔지만, 이번 사례는 대한민국 국민이 직접 신청해 충돌구에 이름이 붙은 최초의 사례로서 큰 의미가 있다.
최유정 작가는 조선시대 풍속화에서 발견한 과학의 원리를 삽화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그녀의 첫 책 ‘화학으로 옛 그림을 본다면’은 초등학생을 위한 학습 동화로, 조선시대 풍속화에 담긴 화학 원리를 작가의 독특한 시선으로 재창작한 삽화를 통해 보여준다. 예를 들어, 김득신의‘야장단련’에서는 열팽창과 담금질의 원리를, 신윤복의 ‘계변가화’에서는 빨래를 두드려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삽화로 풀어낸다. 이를 통해 옛 그림 속에도 현재 우리의 일상과 밀접한 과학 지식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웹진 담(談)’에서는 다양한 에피소드를 다룬다. ‘스토리웹툰 독선생전’ 14화 ‘나그네별’에서는 독선생이 세상의 변화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고민하며 담헌 선생님과의 대화를 통해 깨달음을 얻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선인의 이야기, 오늘과 만나다’의 ‘사람을 만드는 마음’에서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사람을 복제하거나 만드는 이야기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백이와 목금’의 ‘나는 남아가 아니라 다행이네’에서는 전통 인쇄술에 대해 이야기하며,‘스토리테마파크를 쓰다’의 ‘조선왕릉 도굴 사건’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도굴된 왕릉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소개한다.
‘웹진 담(談)’ 2025년 4월호는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홈페이지(https://story.ugyo.net/front/webzine/index.do)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