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빠르게 흐르는 현대사회, 스킵된 이야기들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5-03-30 18:10 게재일 2025-03-31 14면
스크랩버튼
영천 시안미술관, 문화예술위 시각예술창작산실 지원사업 선정<br/>내달 4일∼6월 22일 올해 첫 특별기획전 ‘사라진 이야기’ 선보여<br/>이을·장시재 등 10명 작가 참여… 다양한 시선·사회적 이슈 탐구
송민규作

영천 시안미술관(관장 변숙희)은 오는 4월 4일부터 2025년 첫 특별기획전 ‘사라진 이야기’를 개최한다. 4일부터 6월 22일까지 본관과 1, 2, 3전시실에서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시각예술창작산실 지원사업에 선정된 기획전이다.

박나래, 박선경, 이용학 등 대구경북 지역 대학을 마친 뒤 올해 홍익대 대학원을 졸업한 신진 큐레이터 3명의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신선한 예술감각을 만나볼 수 있다. 큐레이터들은 실무 경험이 풍부한 시안미술관 큐레이터와 매칭돼 전시의 완성도를 높이고 신선한 시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받았다.

큐레이터들은 현대인의 문제를 미묘한 감정과 순간에서 포착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10명의 회화, 사진, 설치, 영상 작가들과 함께 오늘날 삶 속에 내재된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깊이 있게 탐구한다.

박수연作
박수연作

현대 사회는 ‘빠른 스킵’, ‘사이다 패스’, ‘릴스 및 쇼츠 중독’ 등 용어가 상징하듯, 이야기가 빠르게 전개되고 자극적인 결말을 추구하는 문화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서사의 밀도와 풍부함을 초 단위로 편집되거나 빠른 클릭으로 넘길 수 있는 대상으로 만들며, 이는 우리 시대가 점점 더 많은 이야기를 생략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사라진 이야기’ 전시는 점차 우리의 시야와 정신에서 멀어지는 대상과 순간에 주목한 작가들의 시선을 담고 있다. 참여 작가들은 소외된 대상과 현상, 잊힌 흔적을 탐색하거나 빠른 속도에 맞추기 어려운 사회에서 고민하는 자아의 모습을 작품으로 표현하고 있다.

장입규作
장입규作

전시는 작가들의 다양한 시선을 통해 현대인이 놓치고 지나치는 순간과 대상, 그리고 과정 속에서 사라져가는 요소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사라진 이야기’전은 단지 느린 템포의 이야기를 강조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우리가 무심코 ‘건너뛰기(skip)’하며 상실한 삶의 깊은 지점들을 드러내며 관객들에게 총체적인 경험을 제안한다.

고재욱 작가는 ‘모범적인 조연들’을 통해 게임 ‘더 라스트 오브 어스 2’의 유색인종 조연을 조명하며 서구 중심 서사를 전복하고 객체와 주체의 위계를 전환해 새로운 서사를 탐색한다.

박수연 작가는 인간의 불완전함과 삶의 불안정성을 초현실적 자연 풍경으로 표현하며, 삶의 변곡점에서 세계와 생의 의미를 찾는 내적 여정을 담고 있다.

정문경作
정문경作

송민규 작가는 풍경 속 운동 현상과 에너지를 기호로 변환해 효율성과 속도로 인해 생략되는 기록과 사건을 붙잡고 경험의 밀도를 복원하려 한다.

양인아 작가는 외부 요인으로 축적된 개인적 감정을 회화적으로 표현하며, 감정 교류 과정에서 불완전성을 드러내고 타자와의 관계를 조명한다.

이을 작가는 언어의 한계와 정체성의 변형을 탐구하며, ‘Don’t Believe Me, I‘m Eul’ 퍼포먼스를 통해 실체와 허구의 경계를 흔들며 현대 사회의 구조를 비판한다.

양인아作
양인아作

장입규 작가는 디지털 매체와 이미지가 인간 세계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디지털과 현실의 혼성적 시공간을 연구한다.

장시재 작가는 낡고 거친 재료를 사용해 불안정한 풍경을 표현하며, 불확정성이 지닌 가능성과 미의식을 탐구한다.

정문경 작가는 일상 사물을 변형해 인간의 내면과 사회적 맥락을 탐구하며, 개인과 사회의 복합적 관계를 시각화한다.

조희수 작가는 신체와 공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 존재를 탐구하며, 강남역에 육상 트랙을 설치해 도시 공간을 새롭게 점유한다.

홍보미 작가는 미술관 청소부 경험과 취재를 통해 예술의 본질을 찾고, 예술과 비예술, 제도와 일상의 경계를 체화하며 예술의 사회적 담론을 활성화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