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신서정파’ 장석남 시인의 ‘벼락 같은 울림’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5-02-13 18:50 게재일 2025-02-14 14면
스크랩버튼
‘내가 사랑한 거짓말’<br/><br/>장석남 지음·창비 펴냄·시집

섬세한 감성과 감각적인 시어로 서정시의 지평을 넓혀온 장석남(60·한양여대 교수) 시인의 아홉 번째 신작 시집 ‘내가 사랑한 거짓말’(창비)이 출간됐다. 지난 2017년 편운문학상·지훈상·우현예술상 수상작 ‘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 이후 8년 만이다.

이번 시집에서는 오랜 정진을 통해 도달한 시경(詩境)을 활달하게 전개하는 원숙함과 깊고 투명한 철학적 사유가 빛나는 74편의 시를 선보인다. 198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장 시인은 그동안 김수영문학상, 현대문학상, 미당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등 주요 시문학상을 받으며 주목받아왔다. 전통 서정에 바탕을 두면서도 참신한 감각을 빚어내는 ‘신서정파’의 대표 시인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시집에서는 자연을 향한 진득한 응시가 자아와 본연의 인간에 대한 웅숭깊은 탐색으로 아득하게 이어진다. 작금의 현실을 예견한 듯한 풍자와 알레고리가 서정에 바탕을 둔 시인의 고유한 개성과 정교하게 맞물려 독자들에게 벼락같은 울림을 선사한다.

자연과 교감하는 아름다운 서정의 풍경을 그려내는 장석남의 시는 이제 무심지경에 이른 듯하다. “삼월 마지막 날이 사월 첫날을 맞아들이는 듯한 순전한”(‘느티’) 마음이 피어나고, 아침 해가 “굶주린 호랑이처럼 쏟아져 들”(‘대숲 아침 해’)어오는 고즈넉한 풍경 속에는 생명의 신운(神韻)이 생동한다. 시인의 시선에 담긴 풍경은 ‘물에 심은 노래’처럼 은은하고 아름답다. ‘언덕’과 ‘느티’, 그리고 ‘노을’을 비롯한 1부의 시에는 오랜 사유 속에서 찬란하게 영근 시인의 사유가 편편이 녹아 있다.

한편, 시인은 또 “살아온 내력의 울음 섞인 이야기”(‘느티’)를 담담하게 노래한다. 세대를 아우르는 기억과 해후하며 삶의 이력을 곰곰이 되짚는 이러한 시편들에서 과거와 현재가 맞닿는 순간을 감각적으로 포착해낸 시인의 미학적 성취가 눈부시다.

이번 시집에서 특히 주목할 것은 오늘날의 현실을 내다본 듯한 날선 현실 인식과 예리한 풍자가 돋보이는 ‘정치시’다. “유골함을 받아 안듯/오는, 봄/이 언짢은 온기로 시작하는 ‘서울, 2023, 봄’은 시참(詩讖)으로 전율이 일 만큼 오싹하다. 진실을 가려내는 법정을 거짓과 조작의 마술을 상연하는 극장에 비유한 ‘마술 극장’ 연작과 가전체를 새로운 시법으로 패러디한 ‘법의 자서전’은 풍자시의 절정을 보여준다. 이득과 기득을 좋아하고 양심 같은 건 우습게 여기는 법부의 허울 좋은 법을 작심하듯 신랄하게 비판한다. 산송장들을 만드느라 관청의 서류마다 죄가 난무하고, 거짓들이 끝도 없이 거짓들을 모으는 부조리한 현실을 직시하며 시인은 “파아란 입술을 달싹”이며 “김수영의 방 말고 혁명”을, “최제우의 개벽 자유 자유 자유”(‘대기실’)를 외친다.

탁월한 서정성을 바탕으로 자아와 인간에 대한 질문을 거듭해온 시인은 이제 현실에 한 걸음 더 다가선다. 폐허가 되어버린 현실에 대한 “의문과 숙제를/평생 풀지 못할까”(‘숙제’) 두려워하면서도 “무섭도록 서러운 노래도 좀 부르면서”, “사람 사는 땅”(‘쾌청’)으로, 세상을 향해 나아간다. “사랑이 보이는 그 긴 언덕”(‘언덕’)을 느릿하고 “희끗한 걸음”(‘다시 언덕’)으로 넘어오는 한 사람, 시인의 모습이 숙연하다. 고유한 서정성과 더불어 ‘시’로써 더 나은 현실로 나아가겠다는 시인의 굳건한 믿음이 수 놓인 이번 시집은, 현실에 발 디딘 굳건한 시의 소리에 목마른 독자들의 갈증을 단숨에 해소해줄 것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