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째 입춘 한파가 사납게 몰아치고 있다. 마당에서 장작을 패다가 세차게 몰아닥치는 바람 등쌀에 몸을 움츠리게 된다. 이 많은 바람은 어디서 불어오는 것일까, 생각한다. 크고 작은 낙엽과 비닐 쪼가리, 몸통 잃은 감꼭지까지 하늘을 향해 날아오른다. 동쪽과 서쪽으로 날아가는 기러기 무리가 힘에 겨운 듯 구슬픈 울음소리를 터트리곤 한다.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가장 추운 시기를 설 이후라 여겼다. ‘논어’에서는 이것을 ‘세한(歲寒)’이라 기록한다. “한겨울이 되어서야 비로소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알겠노라. (歲寒然後知松栢之後凋)” 1840년 안동 김씨의 득세로 졸지에 제주 대정으로 유배 가야 했던 추사 김정희는 이 구절에 착안하여 1844년 ‘세한도’를 그려 이상적(李尙迪)에게 선물한다.
풍양조씨가 조정을 주물렀을 때 추사는 이조판서로 재직하여 문전성시를 경험한다. 하되 세상인심은 아침저녁으로 달라지는 법. 대정에서 위리안치(圍籬安置) 귀양살이로 고초를 겪자 그를 찾아오는 개미 한 마리 없었다. 그러던 차 중인(中人) 출신 역관이자 제자 우선(藕船) 이상적이 책을 바리바리 챙겨 천릿길을 달려오자 그에 감읍한 추사가 완성한 명화가 ‘세한도’다.
입춘 한파를 겪으면서 날짜를 헤아리니 1월 29일 설 지난 지 어언 열이틀 지났다. 그래서 세한 추위라 말한다 해도 그다지 그르지 않을 성싶다. 이번 추위가 닥치기 전에 썩어 내려앉은 마루를 수리하고, 너덜너덜해진 담장을 고치고, 지저분한 뒷마당을 산뜻하게 단장했다. 설맞이 행사로 생각하여 지출과 노고를 아끼지 않았다. 그리하여 말끔한 2월과 만난 것이다.
어느 틈엔가 히아신스 초록초록한 새싹이 고개 내밀고 있기로 적잖게 놀랐다. 아니, 이런 무지막지한 날씨에 봄맞이를 이렇게 서두르다니, 한탄이 절로 나온다. 히아신스를 사진에 담고, 작년에 잘라낸 잔디로 녀석을 덮어주었다. 그런 와중에도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앞에 자리한 홍매(紅梅)에는 어느새 몇몇 꽃망울이 하늘을 향해 몸을 열었다고 한다.
지난 12월 3일 이후 지금까지 하루도 마음 편한 날이 없다. 청통 와촌에 사는 선배 교수가 집안일을 도와달라 청했기로 유쾌한 노동과 흐뭇한 점심 밥상 앞에서도 그리 유쾌하지 않다. 가슴 깊은 곳에 무엇인가 묵직하고 답답하게 터를 잡고 앉아서 24시간 내내 찍어 누르는 기분이다. 그런 연유로 누구와 만나더라도 흔쾌하거나 상큼하지 않고 뭔가 엉키는 것이다.
인간 내면에 견고하게 똬리를 틀고 있는 탐욕과 어리석음, 비루함과 난잡함, 끈적거림과 추잡함 같은 것이 우리 국민을 공격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무엇이 저 인간을 저토록 추악한 타락과 방종의 나락으로 인도하고 있을까, 생각한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보고 들은 그 날밤의 날벼락 같은 ‘비상계엄’과 ‘포고령’을 낱낱이 기억한다.
얼마나 많은 시민이 거리에서 광장에서 지하철에서 매서운 추위와 칼바람과 눈더미를 견디며 탄핵과 구속을 외쳤는가?! 그자는 재판정에서 치사하고 비루한 변명으로 일관하면서 구명도생을 꿈꾸지만, 우리는 화사하고 아름다운 봄을 기다리고 있다. 봄은 끝내 오고야 말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