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거리’이자 ‘학생의 거리’이기도 한 진보초에는 일찍부터 중국인 유학생과 조선인 유학생들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진보초에 모인 한국인 젊은이들 중의 하나가 이상(1910-1937)입니다. 제가 한 달에 한 번 세미나를 하기 위해 방문하는 센슈대학은 그 옛날 이상이 머물던 하숙방 근처여서, 세미나가 끝나 집으로 돌아올 때면 이상의 환영과 마주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보기도 하는데요. 이상은 1936년 10월 하순에 도쿄에 도착하여, 1937년 4월 17일 새벽 도쿄제대 부속병원에서 숨을 거둘 때까지, 진보초에 머물렀습니다.
그 흔한 ‘장학금’조차 없이 도쿄에 간 이상의 하숙방은, 당시 한국 문단의 총아가 머물기에는 참으로 초라했던 것 같습니다. 이상은 ‘권태’에서 자신이 이 방에서 “오들오들 떨고 있을 뿐”이라고 썼으며, ‘실화’에서는 “12월 23일 아침 나는 진보초 누옥 속에서 공복으로 하여 발열하였다”고 고백합니다. 문우인 김기림은 이 곳을 “구단(九段) 아래 꼬부라진 뒷골목 이층 골방”이라고, 김소운은 “진보초 뒷골목, 햇살이 들지 않는 좁은 이층 방”이라고 묘사했는데요. 모두가 추위와 가난과 어둠의 폐색된 이미지로 가득 차 있네요.
변동림과 결혼한 지 몇 개월밖에 되지 않았으며, 폐결핵이라는 불치병까지 앓았던 이상은 왜 진보초의 골방까지 가야만 했을까요? 1936년 시점에 도쿄란 오늘날처럼 저가 항공을 타고 2시간 30분이면 도착할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변동림은 남편의 임종을 지키기 위해, 경성에서 출발해 “열두 시간 기차를 타고 여덟 시간 연락선을 타고 또 스물네 시간 기차를 타고”서야 도쿄에 도착했다고 합니다.
이상은 작가였기에, 그의 진실은 작품을 통해 확인하는 수밖에 없는데요. 이상은 그 곤궁한 일본에서도 창작의 붓을 놓지 않고, 소설 ‘종생기’와 ‘실화’, 산문 ‘19세기식’과 ‘권태’ 그리고 몇 편의 편지를 남겼습니다. 이 중에서도 도쿄를 배경으로 한 유일한 소설인 ‘실화’는 ‘진보초의 이상’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작품입니다. 이상의 ‘실화’를 관통하는 것은 ‘비밀’입니다. 작품에는 “사람이 비밀(秘密)이 없다는 것은 재산(財産) 없는 것처럼 가난하고 허전한 일이다.”라는 문장이 세 번이나 반복됩니다. ‘나’는 죽음까지 약속했던 ‘연(姸)이’의 ‘비밀(불륜)’을 알고서는 강한 죽음 충동을 느끼다, 결국 진보초의 골방까지 건너갑니다. ‘비밀’은 ‘비밀’일 때만 의미가 있지만, ‘나’는 결코 연의 ‘비밀’을 ‘비밀’로 봉인할 수 없었던 겁니다. ‘내’가 ‘비밀’을 ‘비밀’로 간직할 수 없는 이유는 “슬플밖에·20세기(世紀)를 생활(生活)하는데 19세기 도덕성(道德性)밖에는 없으니 나는 영원(永遠)한 절름발이로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19세기식 도덕’과 ‘20세기의 생활’ 사이에서 분열돼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이러한 분열을 자신의 한계 이전에 경성의 한계로 받아들인 것이고, 그렇기에 ‘19세기식 도덕’과는 무관해 보이는 ‘20세기식 생활’을 향해 목숨을 건 탈출을 시도했던 것은 아닐까요? 그래서인지 ‘내’가 도쿄에서 보려고 하는 것은 오직 ‘모던’에 관련된 것들 뿐입니다. 특히 ‘20세기식 생활’에 대한 관심은 스즈란도오리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데요. 은방울꽃 모양의 가로등(すずらんとう, 鈴蘭<706F>)에서 유래한 스즈란도오리는, 당시 근대문명의 본산인 영국의 런던에까지 이어지는 ‘20세기 생활’의 상징으로 등장합니다.
본래 스즈란도오리는 ‘환상의 차이나타운’으로 불릴 정도로 중국인들이 많이 살던 곳입니다. 진보초 근처에 중국인유학생회관 등이 생기면서 많은 중국인들이 모였고, 그들을 상대로 한 음식점 등이 이 거리에 집중적으로 생겨난 겁니다. 이 무렵 진보초의 스즈란도오리에 머물렀던 사람 중에는 루쉰이나 주은래 등의 유명인도 있습니다. 그러나 ‘20세기식 생활’을 목마르게 찾는 ‘내’가 원하는 것은 오직 ‘모던’이며 ‘서양’일 뿐니다. 이러한 사정은 섣달 대목을 맞아 곱게 장식한 스즈란도오리에서 “최후의 이십 전을 던져 타임스판 상용영어 사천자라는 서적”을 사는 모습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밥을 굶어가면서 마지막 남은 돈으로 영어사전을 살 정도로, ‘20세기식 생활’을 갈망했지만, ‘나’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갑니다.
실패의 이유는 근대도시로 발돋음하기 시작한 지 고작 반세기가 조금 지난 도쿄가 ‘20세기식 생활’만으로 가득할 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상이 임종할 무렵 주변 사람들이 ‘프랑스식 코페 빵’을 구해다 줘도, ‘진짜’가 아니라며 짜증을 냈듯이, 도쿄에 진짜 ‘20세기식 생활’이 존재할 까닭이 없는 겁니다.
설령 이상이 도쿄가 아닌 파리에 간다고 해도, ‘진짜 프랑스식 코페 빵’을 찾을 수는 없겠죠. 이러한 사정은 작품 속에서 조선을 향한 향수를 달래라며 C양이 ‘나’의 양복 주머니에 꽂아준 ‘백국(白菊)을 잊어버리는 것(失花)’으로 드러납니다.
과연 저는 이상이 진보초의 골방까지 건너와 오들오들 떨다 죽어야만 했던 ‘비밀’을 풀어낸 걸까요. 이상의 삶과 작품은 밀도가 높아, 누구의 해석도 하나의 가능성으로 남겨질 수밖에 없는 운명인데요. 혹시 진보초의 어두운 뒷골목에서 봉두난발의 이상을 만난다면, 당신이 영란등 아래서 그토록 찾아 헤맨 것은 무엇이었는지 묻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