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코 기술명장·예술가의 만남 ‘전락원(電樂園)’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4-10-21 19:42 게재일 2024-10-22 14면
스크랩버튼
지역 철강산업·예술의 융합 현장<br/>기술-물질-쇠-전기-기계…<br/>연결·확장된 복합장치로 진화돼<br/>‘일렉트로닉 원더랜드’로 구현<br/><br/>예술과 기술로 빚어진 ‘철나무’ <br/>용광로 쇳물 줄기 연상 시키는<br/>파이프 설치작품 ‘철 뿌리줄기’<br/>‘철의 열매’는 생장과 진화 연상
스페이스298 ‘기술의 미학’전 모습. /포항문화재단 제공

“예술과 기술이 만나다. 잇고 만든다. 기계 세계와 전기세계가 형성된다.”

오는 11월 9일까지 포항 스페이스298에서 열리고 있는 ‘기술의 미학’ 전은 철강도시 포항을 떠올리고, 세계를 상상한 설치미술가와 기술 명장의 협업 전시다. 지역 철강산업과 예술의 융합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공유하는 담론의 장이 되고 있다.

(재)포항문화재단의 대안공간인 스페이스298의 2024년 하반기 기획전은 아트 디렉터 이병희(2024 포항 융합예술 프로젝트 매니저)가 전시 구성을 도맡아 전시장을 가득 채웠다.

올 초부터 설치미술가 김진우와 기술 명장 손병락이 만나 그동안 각자의 전문성으로 기계와 전기세계를 걸어온 길과 작품들의 의미를 최대한 쉽게 풀어냈다. 손병락(포항제철소 EIC기술부) 상무는 포스코 1호 명장으로, 지난 2022년 9월 태풍 힌남노 때 멈춰버린 공장을 가동하는데 크게 기여한 전기기술 분야 전문가다. 김진우는 포항 출신의 설치미술가로 국내외 미술제와 공공미술 분야에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16년에는 포항시립미술관의 대표적인 미술상인 장두건미술상을 수상했다.

두 작가의 기술은 물질과 쇠의 연결, 전기와 기계의 연결, 기계와 기계의 연결, 기계와 공간과 도시의 연결로 이어진다. 연결은 이어지면서 확장되고 기계적 구성은 복합장치로 진화되면서 거대 시스템을 만든다. 이러한 과정을 압축하듯 김진우 작가는 ‘일렉트로닉 원더 랜드(Electronic Wonder Land·전락원·電樂園)’의 전체 설계를 함축적으로 구현해낸다.

김진우 작가의 설계는 크게 세 축으로 펼쳐진다. 전시장 중앙에는 철로 만든 작품들과 전시장 기둥이 맞물려 설치됨으로써 298 자체를 기계화한다.

먼저 두 기둥 중 하나는 ‘철나무’ 작품이 된다. 전시 공간의 기둥을 이용해 예술과 기술로 빚은 철의 열매가 열리는 형상이다.

또 다른 기둥에는 뻗어나오는 줄기나, 뿜어져 흘러 나오는 용광로의 쇳물 줄기를 연상시키는 파이프 설치작품 ‘철 뿌리줄기’가 설치돼 있다. 기둥이 또 다른 뿌리가 돼 뻗어나가고 도시를 창조해가는 모습을 포스코가 용광로에서 만들어낸 철광석을 열매로 표현한 설치작품이다.

지난 18일‘기술의 미학’전을 소개하는 행사인 ‘작가와의 대화’가 스페이스298에서 열리고 있다.  /포항문화재단 제공
지난 18일‘기술의 미학’전을 소개하는 행사인 ‘작가와의 대화’가 스페이스298에서 열리고 있다. /포항문화재단 제공

마지막으로 전시장 벽면에는 전기 회로도와 같은 전기 설비가 드로잉 설치물 형태로 11m가량 이어지는 작품 ‘연결됨’이 걸려 있다. 이는 일종의 전기와 기계가 이어지고 확장돼 나가는 시스템 지도이자 김진우와 손병락을 잇는 연결망이자 그들의 기계세계와 전기세계가 그리는 개념도라고도 할 수 있다.

다른 쪽 벽면에 펼쳐지는 평소 김진우 작가의 드로잉은 이 모든 것의 출발 지점에 있는, 섬세함과 기쁨과 즐거움의 흔적이라 할 수 있다.

이병희 디렉터는 “두 분 모두 기술이 만드는 세상, 전기로 이어지는 세상을 생장과 진화에 비유한다. 몸을 떠올리면 쉽다. 김진우 작가는 전기라는 것이 사실상 뇌와 심장을 잇는 혈관과 같다고 이야기한다. 손병락 상무도 전기의 역할을 단지 공장을 돌리는 것의 차원에 제한하지 않는다. 기계세계와 전기세계의 만남이 필연적이었던 것은 세계 자체의 운동하는 성질 때문이기도 하다. 스페이스 298은 도시가 잘 자라나 예술과 기술의 결실을 맺게 하는 굳건한 뿌리내림의 현장이 된다”고 설명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