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건축·문화·경관적 가치 훌륭
포항시는 국가유산청이 29일 ‘포항 용계정’과 ‘포항 분옥정’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포항 용계정과 포항 분옥정은 자연경관과 조화된 조선 후기 누정의 건축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경상북도 포항 지역 문화유산이다. 각각 1696년과 1820년에 건립됐다.
포항 용계정은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조성된 2층의 누마루를 가진 ‘ㅡ’자형 팔작지붕 건축물로, 앞쪽에는 기계천이 흐르고 있다. 창건 당시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여강이씨 후손들의 수양공간으로 활용됐다.
이후 1778년에는 정면 5칸으로 증축했다. 1779년에는 용계정 뒤편에 서원 사당인 ‘세덕사’를 세우면서 용계정에는 ‘연연루’라는 현판을 달아 서원 문루(門樓) 역할을 했다.
1871년 서원 철폐령 당시 훼철을 막고자 주변에 담장을 쌓고 다시 옛 현판을 달아 화를 면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여강이씨의 문중 회의와 행사장으로 활용되며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용계정이 있는 덕동마을은 여강이씨 향단파의 집성촌이다. 문중 관련 문화유산이 함께 형성돼 있다.
특히, 마을에 수구막이 숲인 덕동숲은 용계정과 함께 어우러지는 뛰어난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11년 8월 국가지정자연유산 명승 ‘포항 용계정과 덕동숲’으로 지정됐다.
포항 분옥정은 1820년 건립된 창건기록이 명확하고, 정면에는 용계천 계곡과 노거수가 위치해 있는 등 산천이 어우러진 뛰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이러한 입지 여건은 ‘구슬을 뿜어내는 듯한 폭포가 보이는 정자’라는 의미의 ‘분옥정’이란 이름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분옥정 안에 걸린 ‘청류헌(물 흐르는 소리가 들리는 곳)’, ‘용계정사(물이 흐르는 형상이 용과 같음)’등의 현판에도 잘 표현돼 있다. 이같은 현판, 편액은 추사 김정희 등 이름난 명사들이 남긴 것이다.
분옥정은 정면 3칸의 누마루와 그 뒷면에 2칸의 온돌방을 이어 배치한 ‘丁’자 평면 형태로 조성됐다. 정면의 계곡을 잘 조망할 수 있도록 ‘丁’자형의 윗부분(‘ㅡ’부분)에 누마루를, 아랫부분에 온돌방을 배치했으며, 각 지붕의 용마루와 처마의 높이를 같게 맞췄다. 이는 분옥정의 뛰어난 경관적 가치를 뒷받침해주는 요소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