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공동체의 ‘올바른 윤리성’을 좇다 소설집 ‘착하다는 말 내게 하지 마’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4-08-27 19:34 게재일 2024-08-28 14면
스크랩버튼
소설가 김강, 3년 만에 신작 출간<br/>‘아담’ 등 총 7편의 단편소설 수록<br/> 평범하지 않은 개인과 가족 통해 <br/> 우리시대 다양한 삶의 풍경 묘사

김강(52·사진) 소설가가 3년 만에 신작 소설집 ‘착하다는 말 내게 하지 마’(도서출판 작가)를 출간했다.

내과 의사이자 책방주인이기도 한 김강은 21회 심훈 문학상 소설 부문 대상 수상작인 ‘우리 아빠’부터 ‘소비노동조합’, ‘그래스프 리플렉스’ 등을 펴내며 작가로서 입지를 다져왔다.

이번 소설집은 평범하지 않은 개인과 가족의 모습을 통해 우리 시대 다채로운 삶의 풍경을 묘사했다. 표제작인 ‘착하다는 말 내게 하지 마’를 비롯해 ‘용의자 A의 칼에 대한 참고인 K의 진술서’, ‘아담’, ‘민의 순간’, ‘으르렁을 찾아서’, ‘검은 고양이는 어떻게 되었나’, ‘그는 집으로 돌아와 발을 씻는다’ 등 총 7편의 단편 소설이 수록됐다.

김강은 작가의 말에서 “작은 상처를 주고받아 아픈 날도 있었지만, 그것 또한 사랑이었다고, 바람 부는 세상 서로 기대며 살았고 꽃 같은 세상 온전히 서로의 것이었다”며 “지키지 못한 것들에 대한 후회, 거짓과 진실이 뒤바뀐 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가득한 밤이 다가오는 지금 우리가 건져내야 할 것이 지난 사랑의 각인뿐인지”를 묻는다.

첫 작품 ‘용의자 A의 칼에 대한 참고인 K의 진술서’에서 시작된 그의 비타협적인 질문은 마지막 작품 ‘집으로 돌아와 발을 씻는’ 마지막 순간까지 끝나지 않는다.

‘최초의 인간’이라고 일컬어지는 아담을 표제로 한 ‘아담’에는 김강이 생각하는 인간의 가장 원형적인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는 ‘나’에게 자신이 죽으면 “한 문장으로 신문에 부고를 내어 주십시오”라는 부탁을 한다. 그 문장은 바로 “부끄러워할 줄은 알았다고. 부끄러워서 그랬다고”라는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끝까지 ‘그의 부끄러움’을 믿지 못한다. 그러나 이후의 일들을 통해 결국 ‘나’는 그가 가진 부끄러움의 진정성을 믿게 된다.

‘용의자 A의 칼에 대한 참고인 K의 진술서’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기본적인 자질을 묻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수십 년의 시간을 격한 두 개의 서사가 나란히 진행된다. 병렬되는 두 개의 서사는 어린 시절에 아파트 공터에서 1동과 2동 아이들이 연탄재를 가지고 벌이던 전쟁놀이와 두 번째는 사소한 일로 동네 사람들이 갈등을 벌이다가 살인사건으로까지 이어지는 현재의 이야기를 서술한다.

김강 소설집‘착하다는 말 내게 하지 마’표지.
김강 소설집‘착하다는 말 내게 하지 마’표지.

표제작 ‘착하다는 말 내게 하지 마’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술집에서 자신을 팔아야 살 수 있는 술집 종업원 세희가 주인공이다. 술집을 찾아온 옛 아버지 주치의였던 의사와 과거를 이야기하며 아버지의 인공호흡기를 뽑아달라고 소리쳤던 자신이 담대한 주체로서 용기 있는 결단을 내린 것이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경재 평론가는 해설에서 “김강은 사르트르가 말한 ‘영구혁명의 담당 기관으로서의 소설가’이자 시대의 스승을 자처하는 ‘문사로서의 소설가’라는 문학사적 전통 위에 서 있다. 그의 소설은 늘 공동체의 올바른 존재 양태에 대한 탐색과 그것을 가로막는 힘에 대한 비판 정신으로 가득하다. 실로 소설의 본령에 해당하는 이러한 영역은 한동안 한국소설계에서는 상당히 결여해 있었던 부분이다. 김강은 맹렬한 기세로 이 결여의 영역을 채우며 한국문단의 중심으로 육박해 들어오고 있다. 그렇기에 김강은 무척이나 귀한 작가”라고 평한다.

도서출판 작가 측은 “이처럼 문사의 계보를 잇는 김강의 소설집 ‘착하다는 말 내게 하지 마’는 예민한 감각으로 인간의 원형을 탐구하며 동시에 공동체의 올바른 윤리성을 좇는다. 그의 날카로운, 어쩌면 과도한 윤리 의식이 지금 우리 시대에 가장 우선되는 요구는 아닐는지. 김강의 감동이 있는 문학 클리닉에서 잠자고 있던 우리의 빛나는 감수성과 윤리 감각을 깨워보길 권한다”고 전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