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아트의 미래를 가늠한다<br/>포항문화재단‘하이퍼 네이처(HYPER NATURE·초자연)’전
문화도시 포항의 핵심 거점 공간인 동빈문화창고1969가 신비스러운 디지털 예술의 물결을 일으키고 있다.
동빈문화창고1969는 포항시 출자 출연기관인 (재)포항문화재단이 포항의 해양문화를 담기 위해 폐쇄된 옛 포항수협 냉동창고를 2023년에 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한 재생복합문화공간이다.
이곳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의 첨단 디지털아트를 경험할 수 있는 ‘하이퍼 네이처(HYPER NATURE·초자연)’ 전이 지난 22일 개막돼 오는 10월 13일까지 열린다.
미국·캐나다·프랑스 등 활동 작가
3D·로봇공학·증강현실 기술 접목
다양한 형태 기반 작품 18점 전시
시공 넘나드는 감각적 즐거움 전해
포항 동빈문화창고1969서
22일~ 10월 13일까지 전시
이 전시는 자연과 기술이 만나고 교차하는 영역을 조명해 자연, 기술, 예술의 은밀한 상호작용과 얽혀 있는 관계에 대한 영감을 깨워주는 작품들을 통해 시공 감각적 즐거움을 전한다.
아트앤테크 분야 전시 및 프로젝트 전문 기획 단체인 라프(LAAF)가 주최·주관하고 포항문화재단 협력으로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포항시 등이 후원하는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캐나다, 프랑스 등에서 활동하는 세계적 디지털아트 작가들의 다양한 형태의 기술 기반 미술 작품 총 18점을 선보이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하는 데이빗 보웬 작가의 자연과 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예술적 방법을 모색한 ‘여정’ 등 2점과 박재훈 작가의 3D 시뮬레이션 작품 ‘마지막 빙하’ 등의 예술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전시는 끝없이 펼쳐지고 접히는 무한한 자연의 변용 안에서, 현대 미술가들의 자연을 향한 관심과 예술과 기술의 교차점에 대한 연구가 빚어내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먼저, 바론 랑테인(캐나다) 작가의 물리적 세계와 가상세계의 모호한 경계를 탐구하는 스크린 포털 작품 ‘터치 그래스(Touch grass)’가 관객을 맞는다. ‘터치 그래스’는 ‘풀 좀 만져라’인데, 비유적인 표현으로는 풀이 자라는 바깥에 나가서 잔디도 좀 밟고 바깥 공기 좀 마셔라, 즉 집에서 인터넷만 하지 말고 밖에 좀 나가라 라는 의미로 쓰인다. 작품은 스크린 모니터를 작가가 직접 작동하며 잔디를 만지는 모습을 구현했다. 기술의 차가운 메커니즘에 따뜻한 인간적 경험을 결합하면서 가상과 현실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작가의 연구 정신을 엿볼 수 있다.
디지털 예술과 로봇공학을 결합한 작품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데이빗 보웬(미국) 작가의 작품은 ‘여정’과 ‘광야’다. 국내에서 처음 선보이는 그의 작품들은 자연과 기술의 경계를 탐구하며 자연 현상을 데이터화해 이를 시각적이고 물리적인 조각으로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설치와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해 호수의 출렁임 등 자연의 움직임을 예리하게 포착하거나 태평양 바다 탐사를 통해 수집한 해저 데이터를 시각적 설치물로 변환하며 강렬한 영감을 일군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기반으로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박재훈(서울) 작가는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인간의 욕망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표현한 작품 ‘마지막 빙하’와 ‘거룩한 묘시’ 등 3점을 공개한다. 박재훈은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와 사진측량기술을 이용해 현실 세계의 사물을 3D 시뮬레이션으로 번역하는 디지털 조각가다. 그의 작품들에는 인간 대신 각종 사물이 자리하는데, 이 사물들은 인간이 만들어 낸 동시대 욕망의 총체로서 하이퍼 자본주의 아래 모든 질서가 종속되고 재편되는 구조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디지털 레디메이드(ready-made) 오브제들과 게임 산업의 부산물들을 이용해 사물들이 가진 종교적·자본적 알레고리를 탐구하며 공간 및 소비에 얽힌 의식구조를 디지털 공간 속에서 깊이 성찰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곡선의 기본 정서를 혁신적인 방법으로 구현하는 디지털 아티스트인 구기정(서울) 작가의 최근작 ‘스크린의 표면’, ‘시퀀스’, ‘스펙트럼 월드’ 등 3점도 국내에서 처음 소개된다. 이 작품들은 실존하는 자연의 이미지를 3D렌더링 기술로 재현한 후 이를 물리적 공간에 영상 및 설치로 구현하고 있다. 자연계에 원래 존재하는 선은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작가의 독특한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지역 출신 참여작가들의 작품도 돋보인다. 유럽의 사운드심포지엄과 여러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에서 꾸준히 활동해오고 있는 김명득 작가는 자연의 패턴구조를 확장해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 비주얼 리소스로 활용한 인터랙티브 작품 ‘발광군집2’, ‘충돌’ 두 작품을 선보인다.
제16회 장두건 미술상 수상자이자 인간의 삶과 기술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고 영상, 피지컬 컴퓨팅, 컴퓨테이션 등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는 김은솔 작가는 신작 ‘IT from BIT’을 소개한다.
2층 전시실에는 줄리 스테판 챙(중국·프랑스) 작가의 예술과 기술, 놀이와 영성을 결합한 미디어아트 작품 ‘포춘 텔러’와 ‘우라마도’가 전시된다. 이 작품들은 종이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해 자연과 영성에 대한 우리의 관계를 탐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관람객이 현실과 가상세계에서 자신을 위치시키도록 이끌어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과 깊이 연결되는 기분을 느끼도록 유도하는 게 작가의 의도다.
이상모 포항문화재단 대표이사는 “디지털 미디어아트 시청각, 증강현실, 설치, 소리조각을 포함한 다양한 예술 형식을 선보이는 ‘하이퍼 네이처’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세계를 바라보는 신선한 탐구의 시선을, 그리고 세계를 이해하는 독특하고 짜릿한 발견의 즐거움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동빈문화창고1969는…
동빈문화창고1969는 포항의 근대 산업 유산인 옛 포항수협창고를 복합 문화·예술체험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포항 문화도시 사업의 핵심 거점시설로서, 융합예술을 비롯한 해양문화 콘텐츠의 창·제작을 위한 자유로운 실험 활동이 펼쳐지는 플랫폼이기도 하다.
과거 포항 발전의 큰 축을 담당하면서 시민들의 삶과 애환이 녹아든 장소인 옛 수협냉동창고를 포항의 새로운 문화예술플랫폼으로 조성, 지속가능한 문화도시 포항의 핵심전략인 ‘융복합 아트앤테크 클러스터’조성을 위한 교육캠퍼스이자 해양문화 거점공간으로 만들어갈 예정이다.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도시 조성사업’과의 연계사업으로 추진돼 기존의 ‘철거 후 신축’ 방식에서 벗어나 도심 원형을 유지하며 지역을 정비하는 도시재생 방식으로 진행됐다.
포항시는 북구 선착로78에 자리한 옛 포항수협 냉동창고를 지난 2020년 12월 착공, 지난해 9월 준공했다. 동빈문화창고1969는 건축면적 1454㎡, 연면적 2602㎡ 3층 규모의 건물이다. 1층에 2개의 전시실과 2개의 다목적홀, 2층은 해양·지역학 아카이브 공간과 라운지, 3층 작가 스튜디오 등으로 구성돼 있다.
동빈문화창고1969는 과거 냉동창고의 시설들을 보존 존치하여 이색적인 문화공간으로 조성됐다. 특히 기존 냉동창고의 문을 그대로 살려서 조성한 전시장 입구와 더불어 냉동창고였을 때 실제로 사용했던 냉동기들이 그대로 남아 과거 공간의 정취를 그대로 담고 있다. 또한 과거 실제 사용됐던 냉매배관을 2023년 스틸아트페스티벌과 연계, 포항수협의 후원으로 예술가들이 눈꽃모양의 벤치로 만들어 관람객들이 편히 쉴 수 있는 작품으로 재탄생 시켰다.
동빈문화창고1969 운영을 맡고 있는 포항문화재단은 앞으로 단순한 문화공간이 아닌 포항의 융합예술의 창제작과 교육의 거점이자, 환동해 해양문화플랫폼으로 지역문화예술정책의 구심점으로서 기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