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멀티단장시조’ 널리 공유하고 싶어요”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4-08-12 18:28 게재일 2024-08-13 14면
스크랩버튼
인터뷰 ▷▷▷ 시조시인 이솔희<br/>시조 창작·국악 연구·교수·SNS 다양한 활동으로 전통문화 계승<br/>동영상·사운드·시조 어우러져 오감 자극하는 ‘멀티단장시조’ 창작<br/>시조의 현대적·전통성 조화에 기여, 세계인과 소통의 매개 됐으면
이솔희 시조시인

“200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조 부문 당선 후 문단 활동을 시작했어요. 지금은 대구문인협회에서 시조분과위원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등단 후 시조 공부를 좀 더 하기 위해 경북대학교 대학원에서 고전시가를 전공한 후 2015년에 ‘한국 근대시조의 이미지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우리나라 전통 국악인 정가도 공부하고 있고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멀티단장시조를 꾸준히 발표하고 있어요.”

금오공과대학교에서 ‘글쓰기와 발표’를 비롯 교양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이솔희 박사는 우리나라 민족시인 ‘시조’에 대단한 애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분야의 연구도 적지 않다.

관련 저서로 ‘한국 근대시조에 나타난 이미지’, ‘전통성과 현대성의 조율 미학’, ‘현대시조 연구’가 있으며 시조집으로 ‘겨울 청령포’가 있다. 그리고 현재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멀티단장시조’를 활발하게 발표하고 있다.

 

-바쁜 중에서도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독서토론 및 창작 강의를 꾸준히 무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인간의 행복은 좋은 관계 속에서 싹튼다고 생각한다. 줌(zoom)을 통해 독서 토론을 하고 감상과 창작을 함께 하면서 좋은 인연을 맺어가고 있다. 사회봉사 일환으로 코로나 시기부터 창작 강의를 시작했다. 강좌명은 ‘줌문학힐링’인데, 영화를 비롯해 타 장르의 문학을 감상한 후 생각을 서로 나누고 창작으로 이어간다. 여기서 맺어진 인연은 서로에게 희망이 되고 치유가 된다. ‘줌문학힐링’ 강좌를 통해 생활 속 문학 치유뿐만 아니라 시인, 수필가 등 여러 명의 작가를 탄생시켜 보람을 느끼기도 했다.

‘줌으로 만나는 독서토론’은 2023년부터 시작했다. “한 사람이 열 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열 사람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 낫다”라는 말을 실감하고 있다. 한 사람이 책을 읽고 해석하는 것보다 여러 사람이 같은 책을 읽고 감상을 나누다 보면 그만큼 관점이 넓어진다. 편협한 관점을 바로잡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남녀노소가 모두 모였기 때문에 나이별, 성별의 견고한 벽이 이 시간을 통해 부드럽게 사라진다.

 

-주로 어떤 책을 읽는지 궁금하다.

△작년에는 중국 소설가 위화의 작품을 읽었다. ‘원청’, ‘허삼관매혈기’, ‘인생’, ‘형제’ 등이다. 위화의 작품을 읽어가는 가운데 작가의 가치관은 물론 중국의 역사나 자연환경, 문화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알 수 있었다. 위화의 작품 속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대부분 순수한 영혼들임을 발견해 낼 수 있었다.

올해는 베스트셀러나 노벨문학상 수상 작품 등을 주로 읽고 있다. 작품 선정을 내가 아니라 수강자 여러 사람이 했기 때문이다. 모옌의 ‘붉은 수수밭’,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등이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작가의 일생 및 가치관, 작품에 깔린 시대 배경 등을 알아가는 가운데 통찰에 이를 수 있었다.

 

-창작과 더불어 독서 토론 강좌를 꾸준히 이어가는 이유가 궁금하다.

△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인 구양수의 삼다(三多)는 좋은 글을 짓기 위한 방법이다. 좋은 글을 짓기 위해서는 많이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전에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독서 토론을 하는 것은 통찰과 문학치유도 목적이지만 결국은 좋은 글을 짓기 위함이다.

 

-멀티단장시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

△멀티단장시조는 공식적으로 통용되는 장르명은 아니다.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시조의 변모를 꾀하다 보니 자의적으로 지은 명칭이다. 문학 장르는 살아있는 유기체이다. 따라서 고유의 정체성을 살리면서 당대인들의 정서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끊임없이 변모되어야 한다. 현대는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 시대이다. 현대인들은 영상과 사운드에 익숙하고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욕구를 만족시키고 시조의 미학인 촌철살인을 실현하기 위해 멀티단장시조를 창작하게 되었다.

현대시조는 자유시와 구분이 잘되지 않는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는 현대시조의 존재 가치를 의심한다는 의미와 같다. 따라서 이러한 평을 듣지 않기 위해서라도 현대시조는 시조 정체성의 미학을 뚜렷이 할 필요가 있다. 시조의 정체성은 언어의 경제성에 있다. 언어의 경제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촌철살인의 미학을 살려야 한다. 멀티단장시조는 동영상과 사운드와 시조 종장의 조화로 독자들의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계획하는 것이나 바람이 있다면.

△‘줌문학힐링’과 ‘줌으로 만나는 독서토론’을 통해 많은 사람과 더불어 행복해지고 싶다. 그리고 멀티단장시조를 많은 대중들과 공유하고 싶다. 멀티단장시조를 매개로 세계인과 소통하면 좋겠다. 예술인복지재단으로부터 받은 지원금으로 ‘생활 속 시조, 시조 속 힐링’이라는 시조집을 준비하고 있다. 순조롭게 잘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논문 ‘디지털 시대와 이영도 시조 문학’을 준비 중이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