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외심’<br/>대커 켈트너 지음·위즈덤하우스 펴냄<br/>인문
경외심(敬畏心·공경하면서 두려워하는 마음)은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어떤 거대한 신비를 마주했을 때 경험하는 정서다. 아이가 태어나며 울음을 터뜨릴 때, 영화를 보면서 알 수 없는 환희에 휩싸일 때, 음악을 들으며 고양된 감정에 벅차오를 때, 우리는 경외감을 느낀다.
수십 년 전만 해도 심리학자들은 공포나 혐오처럼 인간 생존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감정만 연구했다. 그런데 혁명적 사고의 전환이 일어나며 우리가 어떻게 사회적 기본욕구를 채울 수 있도록 진화했는지에 관심이 쏠렸다. 우리는 협력하고 공동체를 꾸리고 공유된 정체감을 강화하는 문화를 창조하는 능력 덕분에 지금껏 살아남았다. 그리고 이 모든 행동은 바로 경외심에 의해 촉발되고 확장된다.
미국의 심리학자인 대커 켈트너 UC버클리대 심리학과 교수는 영화 ‘인사이드 아웃’ 제작에 자문 역할을 하고 페이스북 이모티콘 개발에 참여하는 등 인간 정서 연구 전문가로 꼽힌다. 대커 켈트너는 최근 펴낸 ‘경외심’(위즈덤하우스)에서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경외심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선보인다.
20여 년 전, 심리학자 대커 켈트너가 조너선 하이트와 함께 경외심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우리의 도덕적·영적·미적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논문을 쓰기 전까지는 ‘경외심’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은 존재하지 않았다. 대커 켈트너는 15년 이상 경외심을 과학적으로 연구해왔다.
수십 년 전만 해도 심리학자들은 인간 생존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몇 가지 감정만 연구했다. 그런데 혁명적 사고의 전환이 일어나면서 우리가 어떻게 사회적 기본욕구를 채울 수 있도록 진화했는지에 관심이 쏠렸다. 협력하고 공동체를 꾸리고 공유된 정체감을 강화하는 모든 행동은 바로 경외심에 의해 촉발되고 확장된다.
대커 켈트너는 이 책에서 경외심이 다양한 사회와 역사와 문화 속에서, 개인의 삶 속에서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우리 뇌와 신체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일상 속 경외심의 경험을 쌓음으로써 어떻게 인간 본성 가운데 가장 인도적 측면의 가치를 알아볼 수 있는지를 밝혀낸다.
“경외심이란 흔히들 삶을 즐기고 ‘문화’를 누릴 충분한 부(富)를 가진 자들만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이 관념은 틀렸다. 재소자들의 반응이 이를 증명한다.
최신 실증적 연구 결과들 역시 이를 뒷받침한다. 한 연구에서는 자산이 적은 사람들이 하루 중 더 빈번하게 경외심을 느끼며 일상 주변 환경에서 경이를 더 많이 발견한다고 보고했다.
보통은 재산이 많으면 호화로운 주택이나 VIP들만 사용 가능한 값비싼 리조트, 최고급 소비재 등을 누릴 수 있으니 경외심도 더 많이 느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현실은 오히려 정반대다.
부가 일상 속 경외심의 가치를 평가 절하하고 다른 사람들이 가진 심적인 아름다움, 대자연의 경이, 음악이나 예술의 숭엄미를 알아볼 수 있는 능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보인다. 경외심 경험은 부에 의존하지 않는다. 일상에서 경외심을 느끼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욕구이기 때문이다.” (130쪽)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