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도예가 심재용 ‘손빚음 그릇전’ 30일까지 대백프라자갤러리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4-06-24 18:30 게재일 2024-06-25 14면
스크랩버튼
심재용作
구미의 중진 도예가 심재용 작가가 대구에서 19번째 개인전을 갖는다.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 B관에서는 심재용 작가의 ‘손빚음 그릇전’이 개최된다.

구미공예문화연구소 소장이자 수천요 대표로 있는 심 작가는 그동안 경상북도 공예품 대전(2019, 2021년) 대상, 대구광역시 공예대전(2018) 대상, 대구광역시 관광기념품대전(2017) 대상. 2016 프랑스 리옹 도자 박람회 참가 등 왕성한 창작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03년 첫 개인전 이후 ‘손빚음 그릇전’이란 일관된 주제로 전시회를 이어오고 있는 심 작가는 손빚음이 갖는 미학적 의미와 반복된 기법의 재현에서 오는 노동의 가치를 예술로 승화시켜 나가고 있다. ‘손빚음’은 물레 없이 손으로 흙을 주물러 그릇을 만드는 일에 붙여진 우리말 이름이다. 이렇게 독창적인 기법으로 제작된 그의 작품은 ‘보듬이’라 부르며 우리시대의 새로운 그릇으로 평가받고 있다. 보듬이는 그의 스승인 도예가 정동주에 의해 연구되고 디자인돼졌다. 보듬이의 가장 큰 특징은 굽이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릇의 높이는 8~8.5㎝, 입지름은 10~11㎝로 다완과 유사한 형식을 갖고 있지만. 결코 다완의 틀에 구애받지 않은 새로운 디자인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심 작가의 도예작품 재료가 되는 흰색 ‘카오린(Kaolin)’은 카오리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암석 또는 점토로서 내화도가 높아 도자기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자신만의 심상을 추상적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한 특징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와 문양이 새겨 넣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형태와 색채, 철학을 담은 그릇 보듬이 100여 점이 선보인다.

심재용 작가는 “이번 손빚음 찻 그릇전시를 통해 용기를 내었다. 물레라는 인간의 손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훌륭한 기계를 멀리하고 손빚음 기법을 고집한 결과물로 100여점의 작품들을 얻을 수 있었다”며 “열아홉번째 맞는 이번 전시를 통해 올바른 도자, 차 문화를 재정립하는데 기여코자 한다”고 전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