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유로운 붓질, 거친 물감 덩어리… 동해바다 보는 듯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4-06-24 18:30 게재일 2024-06-25 14면
스크랩버튼
전시리뷰 서양화가 김기식 ‘훅, 치고 들어온’전<br/>포항문화재단 중견작가 초대전<br/>내달 27일까지 ‘스페이스298’<br/>영일만·울릉도 오가며 본 풍경<br/>물감 두껍게 쌓아 형태감 주는<br/>마티에르 기법으로 화폭에 옮겨
오는 7월 27일까지 스페이스298에서 열리고 있는 김기식 작가의 개인전 ‘훅, 치고 들어온’전 모습. /안성용 사진가 제공

(재)포항문화재단은 김기식(72) 작가의 개인전 ‘훅, 치고 들어온’을 오는 7월 27일까지 대안공간 스페이스298(포항시 북구 중앙로 298번길 13)에서 개최하고 있다.

이 전시는 ‘실험과 전환’이란 키워드로 마련한 ‘중견작가 기획초대전’의 첫 번째 전시다. 작업실에서 꾸준히 작품세계를 고민하는 작가에게 실험의 계기를 제공하고 지역 작가를 재발견해 작업의 가치관과 환경에 대한 전환을 시도하고자 기획된 사업이다.

김기식 작가의 작품 소재는 바다 풍경이다. 포항 흥해공업고등학교 미술교사 발령으로 바닷가에 처음 발을 들인 그는 늘 바다를 보면서 지냈고, 이는 그의 표현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포항과 영덕을 오가며 작업하고 있는 작가는 최근 몇 년간 영일만과 울릉도, 동해시, 울산시 등을 다니며 만난 풍경에 주목한다.

작가가 사용하는 주된 표현방식의 하나는 물감을 붓이 아닌 나이프로 퍼내어 바르는 방식으로 두꺼운 형태감을 구현하는 기법인 마티에르(mati<00E8>re·예술 작품의 물질적 재료, 소재 혹은 재질감을 나타내는 프랑스어)다. 영해, 감포, 포항 등 동해의 격렬한 풍랑과 파도 속에 피어나는 삶의 체취를 풍경적인 요인으로 삼아 대상화하고, 화면을 구성하는 자유분방한 붓질과 굵직한 물감 덩어리를 통해 거친 듯한 동해를 추상적으로 담아내는 독자적인 조형성을 표출한다.

최근에는 황변현상(유화 물감이 공기와 산화되면서 변색) 때문에 캔버스 대신 마대자루나 원두통자루를 이용해 작업했고, 작품들이 형태를 가지고 작가의 미적 완성에 가까워졌다.

작품은 ‘일출소견’ 시리즈 3점과 ‘도동항’, ‘칠포항’, ‘저동항’ 시리즈 21점이 출품되며 ‘영일만’ 시리즈가 50여 점, 최근 통작업 시리즈인 ‘무제’, ‘일출’, ‘여명’ 시리즈가 35여 점, 영상 등 110여 점이 출품된다.

김기식 작가는 “풍경을 바라보며 머물렀던 시간, 풍경의 인상을 끌어내는 시간, 물감이 마르는 시간까지 고려한다면 순간과 시간을 담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며 “층층이 쌓인 통작업은 놓이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보이고 층을 바꿔보는 재미, 우연성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기식作
김기식作

이번 전시를 기획한 이봉미 큐레이터는 “김 작가는 스케치를 바탕으로 그림을 그려내고 선을 바탕삼아 색감을 입히고 마티에르를 넣어 ‘앞으로 튀어나온’ 형태를 추구한다. 이 방식은 물감을 말리는 데만 꼬박 몇 달을 소요한다”고 설명했다.

김기식 작가는 영남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7회의 개인전과 한국미술협회 포항지부전, 신조미술협회전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또 포항아트페스티벌(2005)·초헌미술상(2008) 등을 수상하며 지역을 대표하는 중견작가로서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작가의 작품세계를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작가와의 대화’는 7월 5일 오후 4시 스페이스298에서 열리며, 작가가 풍경을 풀어내는 방식, 풍경을 공유하는 작업 이야기, 느낌을 전달하는 방식을 나눌 예정이다.

한편, 포항문화재단은 2021년부터 문화재단 문화도시 기획의 하나로 탄생한 스페이스298을 통해 지역의 역사와 지리 생태에 기반한 예술 프로젝트를 고민하고 기획해 문화소통을 꾸준히 실행하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