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텍 이장식 교수 연구팀강유전체 메모리 성능 향상

장은희 기자
등록일 2024-06-10 18:25 게재일 2024-06-11 12면
스크랩버튼
소자 정보저장능력 극대화 성공<br/>‘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

기존 플래시 메모리보다 4배 이상 낮은 전압에서 작동하면서도 메모리 성능은 훨씬 더 향상시킨 강유전체 메모리 구현에 성공했다.

포스텍 신소재공학과·반도체공학과 이장식<사진> 교수 연구팀이 하프니아 기반 소자 구조를 이용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정보 저장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이 연구는 최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됐다.

최근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메모리가 차세대 메모리로 주목받고 있다.

하프니아는 하프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이다. 이 물질을 활용한 강유전체 메모리는 낮은 전압에서도 작동 가능하며 속도도 빠르다. 그러나 하프니아 기반 메모리 소자는 외부에서 전압을 가해도 강유전체 물질에 전압 전달이 원활하지 않다. 그래서 데이터 저장에 필요한 메모리 윈도우(전압 구간)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이장식 교수 연구팀은 신소재와 새로운 소자 구조로 이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하프니아 기반 메모리 소자에 사용되는 강유전체에 알루미늄을 도핑해 우수한 성능의 강유전체 박막을 만들었다. 또 소자를 구성하는 금속과 강유전체 물질이 단순하게 배열된 기존 MFS(금속-강유전체-채널) 구조 대신, 두 물질이 두 번 반복되는 MFMFS(금속-강유전체-금속-강유전체-채널) 구조로 소자를 만들었다.

연구팀의 소자는 금속과 금속, 금속과 채널 간 강유전체 층들의 두께와 면적비 등을 요소로 캐패시턴스를 조절해 각 층에 걸리는 전압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강유전체 물질에 전압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소자의 성능을 높이고,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구동 전압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18V)보다 낮은 10V 이하로 동작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정보를 유지하는 성능에서도 연구팀의 메모리 소자는 안정적인 특성을 띠었다.

기존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소자의 메모리 윈도우가 약 2V였다. 연구팀의 소자는 10V 이상의 메모리 윈도우를 기록하며 QLC를 구현할 수 있다. 또 100만 번 이상의 동작 후에도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특히 기존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저장하기 위해 전압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방식을 사용해 프로그램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한 회로가 필요하다.

이번에 개발한 연구팀의 소자는 강유전체 분극 스위칭을 제어해 한 번의 전압 인가로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 저장할 수 있다.

이장식 교수는 “후속 연구를 통해 저전력·고속·대용량 메모리 소자를 개발해 데이터센터와 인공 지능 분야의 전력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