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시단(詩壇)의 왕이 훙어(薨御)하셨다’.
5월 22일 오전 8시 17분. 경기도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시인 신경림<사진>이 오래 앓아왔던 대장암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임종은 그 역시 시인인 서홍관(66) 국립암센터장과 가족 등이 지켰다.
1936년생이니 향년 88세. 1956년 2월 ‘문학예술’지(誌)에 시 ‘갈대’와 ‘낮달’을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나왔으니 시력(詩歷)은 68년이다.
질박하고도 정겨운 우리말로 가난하고 핍박받는 필부필부(匹夫匹婦)의 삶과 애환을 문학적으로 탁월하게 형상화해온 신경림의 시는 좌와 우, 진보와 보수 모두에게 사랑 받았다. 물론, 교과서에도 실렸다.
지난 세기 한국 진보문학의 둥지로 평가되는 출판사 ‘창작과비평’의 시선집 1호는 바로 신경림의 ‘농무’였다.
동명의 시 ‘농무’는 50년 세월을 뛰어넘어 문학청년은 물론, 평범한 독자들의 가슴을 끊임없이 흔들었고, 경북의 한 지역을 제목으로 한 절창 ‘동해 바다-후포에서’ 역시 도저한 서정과 품 넓은 시어(詩語)로 지금까지도 시 애호가들 사이에서 낭송되고 있다.
신경림의 타계 소식을 접한 문단 후배 이승철(시인·66)은 “항상 과묵하고 진중했으며, 난해한 언어로 된 시가 없었다. 과장되지 않은 작은 몸짓은 존경의 대상이었다”는 말로 신경림의 죽음 앞에 향초를 놓았다.
딸 또래의 소설가 김별아(55·강원문화재단 이사장) 역시 “아무도 미워하지 않던, 천생 시인”이란 말로 선배 작가 신경림의 사라짐을 애통해 했다.
만해문학상과 대산문학상 수상자이며,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등을 지낸 시인 신경림의 장례는 서울시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대한민국 문인장으로 치러진다. 발인은 25일 오전 5시 30분. 장지는 충북 충주시 연하리 선영이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