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내 첫 中 전한시대 ‘청백경’ 경주서 출토

윤희정기자
등록일 2024-05-08 20:16 게재일 2024-05-09 2면
스크랩버튼
기원전 1세기 청동거울 조각 확인<br/>문화재재단 “권력집단 존재 입증”
덧널무덤 1호에서 출토된 청동거울 조각.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경주에서 기원전 1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거울 조각이 발견됐다. 특히 이 청동거울 조각은 그간 한반도 지역에서 출토된 적 없는 전한(前漢) 대의 것으로 추정돼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문화재재단은 “경북 경주시 서면 사라리 124-2번지 일원에서 널무덤 2기, 덧널무덤 2기를 비롯해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 생활유구 등을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덧널무덤 1호에서는 청동거울편, 칠초철검과 칠기 등 기원전 1세기 당시 권력자의 존재를 입증하는 유물들이 나왔다.

이 유물들 중 청동거울은 피장자 가슴 쪽에 조각 1점으로 발견됐다. 재단은 “일부 끝자락에 마모 흔적이 있는 것을 볼 때, 상당기간 소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원래 크기를 추정한 결과 지름 17.5~18㎝로 당시 청동거울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청동거울에는 “….承之可(승지가)….”라는 명문이 남아 있다. 재단은 “청동거울의 명문을 비교 분석 결과, 일본 규슈 후쿠오카 현 다테이와 유적 10호 독널무덤에서 출토된 중국 전한 청백경(淸白鏡)과 명문, 글자형태, 명문대의 배치 등이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를 통해 현재까지 국내에서 알려진 사례가 없는 청백경이 사라리 유적에서 처음 출토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청백경은 중국 진나라에 이어 고조 유방이 세운 두번째 통일왕조인 전한시대(기원전 202~기원후 8년경)를 대표하는 청동거울의 하나다. 일반적으로 청동거울에 ‘청백(淸白)’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청백경으로 불린다.

이 밖에 성운문경 조각 1점과 칠초철검, 칠목기 등도 출토됐다. 성운문경(星雲文鏡)은 기원전 1세기 경부터 확인되는 청동거울로 외면의 유좌라는 돌기가 특징이다. 별자리와 유사해 성운문경으로 불린다.

재단은 “본 조사 대상지에서 확인된 널무덤과 덧널무덤은 주변에 인접한 원삼국시대의 대표적인 수장급 무덤 중 하나인 경주 사라리 130호분보다 최대 100년 전에 조성된 무덤으로 보인다”며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경주 북서쪽 일대에 최소 기원전 100년 이전에 정치 세력집단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초기 신라의 정치집단세력 연구에 있어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가진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지역의 발굴조사는 2023년 12월 6일부터 2024년 2월 27일까지 진행됐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