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 속 점막에 염증이 생겨서 콧물 재채기 콧물 등이 과도하게 발생해 고생하는 것을 비염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비염이라고 하면 알러지성 비염을 뜻하며 만성적이고 잘 낫지 않는다. 많은 수가 축농증으로 진행된다. 감기와 같이 오는 경우가 있고 감기 끝에 낫지 않는 경우, 감기와 무관하게 급성으로 비염이 오는 경우가 있으나 이런 경우 보통 치료는 쉽게 된다.
급성으로 오는 비염은 한의원에서도 감기에 준해 한방 감기약을 처방한다. 계지탕이나 갈근탕 마황탕 등의 초기 감기약을 쓰고 일반적인 감기 치료의 기간과 비슷하게 낫는다. 감기 끝에 콧물이나 코막힘이 한 두달 안 나아서 고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한의원에 가서 처방을 받는 것이 낫다. 이런 경우 병원 약을 먹어도 낫지 않는데 대부분 환자의 면역이 떨어져서 그렇다. 한의원에 달여놓은 상비약으로 일주일 정도면 많이 개선되고 상비약으로 힘든 경우 보름이나 한달 정도를 환자의 몸에 맞게 면역을 올리는 처방을 하면 어렵지 않게 해결된다.
이런 건 크게 어렵지 않은 경우로 감기 끝에 2~3달 고생하는 경우는 환자 몸에 맞는 면역을 올리는 처방으로 쉽게 개선된다. 알러지성 비염이나 6개월 이상 된 만성 비염의 경우는 치료가 어렵다. 보통 한의원에 비염으로 내원 할 때는 이런 경우이며 여러 병원을 다녀도 호전이 없어 찾아 온다.
만성 알러지 비염은 환자의 상태에 맞는 처방을 잘써야하며 즉효하면 큰 효험을 본다. 정말 처방이 맞아 버리면 오래 고생한 경우도 3개월 전후로 많이 좋아진다. 처방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 후비루 등 비염의 증상과 더불어 환자의 수면 소화 대소변을 살펴야 한다. 증상을 종합해서 계지탕, 소청룡탕, 대청룡탕, 사간마황탕 등 인체 상부의 습을 날리는 처방과 면역을 올리는 처방을 섞어서 쓴다.
마르고 약한 경우는 소청룡탕이나 계지탕 계통으로 들어가고 체력이 보통이상이고 잠 문제가 크게 없으면 대청룡탕 마황탕 계통의 약으로 처방을 한다. 축농증이 심한 경우는 도라지 즉 질경이를 넣어 인체의 농을 빼는 처방을 쓰는데 이때 쓰는 질경은 성질이 강한 매운 질경으로 써야 농을 빼는 작용을 볼 수 있다. 배농탕이나 배농산급탕이 질경이 들어간 처방이고 단독 혹은 다른 처방과 섞어서 쓴다.
오래 됐지만 증상이 심하지 않고 잠을 잘못자면서 약한 사람은 시호계지탕같은 약을 쓴다. 어떤 약이든 효과는 나며 환자에게 맞는 처방은 탁효를 낸다. 약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음식과 생활 관리도 신경을 써야 한다. 먹으면 콧물이 나는 매운 음식과 뜨거운 음식은 절대 먹지 않는다. 추워지면 콧물이 더 심해지는 경우는 항상 긴 옷으로 피부 노출을 막아줘야 한다. 몸에 열이 많다고 피부를 노출하고 다니면 찬바람이 불 때마다 심해지니 얇은 옷이라도 피부노출을 막아야 한다. 그리고 자기 전에 소금물로 코를 헹구는 것이 좋다. 유튜브나 인터넷으로 검색해서 따라 하면 된다. 어릴수록 치료 효과가 크니 어릴 때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