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윤 정부 성공 위한 승리 절실<br/>민주 연패 끊고 권력 사수 급선무
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총선은 집권 3년 차를 맞게 되는 윤석열 정부의 중간 평가라는 점에서 여야가 사활을 건 한판 승부를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으로서는 그간 수적 우위에 밀려 정부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한 만큼 차기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보다 많은 의석을 확보해야만 한다. 야당은 대선과 지방선거 패배를 끊는 동시에 정권을 되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런 점에서 내년 총선에서 야당은 정권 심판론, 여당은 거대 야당 심판론을 꺼내들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관계자들은 “여당의 거대 야당 심판론과 야당의 정권 심판론이 서로 충돌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정부 성공을 뒷받침하기 위해 총선 승리가 절실하다. 21대 국회에서 거대 야당인 민주당의 벽에 막혀 국정과제 입법이 대부분 좌절되거나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줬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승리하면 윤석열 대통령의 3대(노동·교육·연금개혁) 입법에 속도가 붙게 된다. 반대로 안정적 의석수를 확보하지 못하면 윤 대통령이 조기 레임덕에 빠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은 대선과 지방선거 연패의 고리를 끊고, 의회 권력을 지키는 것이 급선무다. 이에 윤석열 정부 외교·경제정책과 인사를 실패라고 규정, 윤석열 정부 심판을 위해 과반 의석을 유지하게 해 달라고 호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의당은 거대 양당 구도를 깨고 교두보를 확보할지, 다시 존재를 위협받게 될 지 갈림길에 서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경북(TK)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의 일방적인 독주가 재연될 지, 아니면 깨질 지가 관심사다. 정치권에서는 국회에서 논의 중인 선거제도 개편 성사 여부에 따라 국민의힘 독주 여부도 판가름날 것이라고 전망한다. 한편, 22대 총선 예비 후보자 등록은 12월12일 시작된다. 총선에 출마하려는 지방자치단체장과 장관 등은 내년 1월11일까지 사직해야 한다. 이어 3월 21∼22일 후보자 등록을 받고 3월28일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되며, 4월 5∼6일 사전투표, 4월 10일 본 투표가 실시된다. /박형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