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싹이 돋고 봄꽃들이 만개하며 자연이 녹색으로 물들어 푸르름과 활력이 넘치는 계절 봄이 오고 있다. 해마다 맞이하는 봄이지만 봄은 갑자기 왔다가 갑자기 지나가는 것 같다. 너무 짧게 느껴지는 봄이지만 이 동안 너무도 뚜렷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이 알레르기성 비염이다.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은 맑은 콧물이 많이 나는 것, 재채기, 비색(코막힘) 등이며 이로 인해 후비루(콧물이 목으로 넘어가는 것) 등으로 인한 인후부 염증이 동반되기도 하고 눈과 코 주위가 가렵고 피부염이 생기는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은 알레르기 물질(항원)에 반응하여 코와 호흡기 등의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대부분 야외에서 발생하는 꽃가루, 미세먼지나 실내의 집먼지진드기, 동물의 털 등에 의한 경우가 많다.
알레르기 비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발된 알레르기 물질을 찾아내고 그것을 피하거나 최소화해야 한다. 알레르기 검사상에 뚜렷한 유발 원인이 확인된다면 이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고양이 털이 뚜렷한 유발 원인으로 확인된다면 반려동물로 고양이를 키우면 알레르기 비염을 치료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꽃가루 등에 의한 자극이 심하다면 외출 시에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코 세척을 자주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뚜렷한 항원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나 오랜 기간 생활 환경이 바뀌지 않았음에도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인체 내부 환경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한의학에서는 비염을 인체 상황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하여 치료하고 있다. 예전보다 추위를 크게 느끼고 찬바람을 견디기 힘들어하면서 날씨가 추워질 때 비염 증상이 더 심해진다면 한성 비염의 상태로 보고 몸을 데워주는 약을 쓰기도 하고 맑은 양상의 콧물, 가래 등이 특별히 심하면서 어지럼증 등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담음증의 양상으로 보고 체내 수액 대사를 개선시켜 불필요한 담음을 치료하는 데 집중하기도 한다. 스트레스나 심한 노동 등으로 인해 히스타민 과민성이 증가하여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몸을 보해주는 치료를 하기도 한다.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오래 지속된 경우 부비동염이 생기거나 콧물이 심하게 넘어가서 인후염, 소화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서 치료해야 한다.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은 코막힘, 재채기 등으로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수면 장애가 생겨 피로감도 심해지고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장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수험생의 경우 집중력이 크게 저하되어 학업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오랜 기간 비염 증상이 지속되면 우울감도 생긴다.
따뜻한 봄날에는 피어나는 꽃들과 새싹들을 바라보며 산책만 해도 새로운 에너지를 얻는 기분이 든다.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잘 치료가 되어서 콧물 걱정 없는 따뜻한 봄날을 마음껏 즐길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