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어린이와 보약

등록일 2023-02-08 18:04 게재일 2023-02-09 18면
스크랩버튼
강미선 이강부부한의원장

예전에는 겨울방학이 끝나고 일주일 정도의 학교생활 후 다시 봄방학을 하던 학사 일정이 요즘은 겨울방학을 늦게 시작해서 봄방학까지 쭉 이어서 보낸 후 새 학년을 맞이하는 학교들이 많아지는 추세인 듯하다. 학기 중에는 늘 바쁘고 챙기기 어려운 아이들에게 한약을 먹이기에는 좋은 시간이다.

한의학에서 보(補)한다는 것은 우리 몸의 기능 중 부족한 부분을 치료하는 방법, 즉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적당한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몸의 조화를 돕는 일이다. 그리고 보약이란 그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일체의 한약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아이에게 보약이라 함은 녹용을 가미한 약으로 알고 있다. 물론 녹용은 인삼과 함께 신체의 기능을 보강하여 몸이 허약한 것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보약으로 주로 근골을 강하게 하고 정혈을 생기게 해주며 생장발육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의 저항력(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특별한 병이 없더라도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는 아이들의 성장 발육에는 필수적인 보약이다. 하지만 꼭 녹용을 복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증상에 맞추어 알맞은 약을 복용시키는 것이 더 좋다.

그렇다면 보통 소아 보약은 몇 살 때부터 복용하는 것이 좋을까?

아이가 생후 6개월쯤 되면 태어날 때 부모로부터 받은 면역기능이 떨어져 감기나 외부 자극에 쉽게 감염되는 등 여러 가지 허약 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보약을 복용하기 시작하는 가장 적당한 시기는 생후 6개월부터 1년 6개월이 되는 때이다. 만약 녹용을 가미한 약을 복용시키려고 하면 대개 만 1세가 지난 후부터 매년 만 나이에 맞추어 먹인다. 예를 들면 만 3세의 아이의 경우 3첩을 먹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아이의 상태에 따라 복용량과 복용횟수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럼 보약을 먹는 계절은 따로 있을까?

예로부터 한의학에서는 봄은 만물이 소생하는 기운을 받아 아이들이 성장하는 시기로, 가을은 영양분을 저장하여 체중이 느는 시기로 인식하여 보통 봄과 가을에 보약을 먹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동의보감에서는 오히려 ‘여름에는 기력을 보충하는 치료를 기본으로 해야 한다.’라며 여름철 보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실제로 잦은 감기에 시달리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호흡기가 다소 편안해지는 여름철이 오히려 보약을 복용하기에 적당하다. 또한 환절기나 겨울철에 감기에 잘 걸리는 경우 잠시 감기에 걸리지 않은 시기에 보약을 복용함으로써 이후로 감기의 빈도를 줄이거나 증상의 심한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학기 중에는 학교와 학원 등으로 바쁜 일정을 소화해야 하는 요즘 소아청소년들은 하루 두세 번 약을 챙겨먹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체질적으로 허약한 아이들의 경우에는 계절에 상관없이 아이들의 전반적인 상황에 맞추어 보약을 복용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합리적인 방법이다.

새 학년을 맞이하기 전 이번 2월에는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챙겨 보는 건 어떨까?

한방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