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발생한지 3년이 지났다. 지난해 12월 기준 누적 확진자가 2천700만명이 넘는다고 하니, 2명 중 1명은 걸린 셈이다.
작년에는 치명률이 낮은 오미크론 변이가 대유행하면서 코로나 발생 초기의 위험성과 공포감은 많이 줄었다. 하지만 코로나에 걸린 후 정상적인 컨디션을 회복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이 있다. 일반 독감은 타미플루(알약)나 페라미플루(주사약)라는 특효약이 있어서 비교적 후유증 없이 빨리 회복할 수 있으나, 코로나의 경우는 치료제가 일반화 되어 있지 않아서 해열제 등으로 나을 때까지 버티다보니 후유증이 심하면서 오래 가고 있다.
코로나 후유증은 단순한 ‘불편감이 남아 있다’가 아니라, ACE2 수용체를 통하여 전파되는 염증 반응과 섬유화 반응에 의해 실제적인 손상이 일어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리고 혈액 응고 체계에 작용하여 혈전 형성을 촉진하는 점도 중요하다. 그래서 코로나 후유증을 ‘시간 지나면 나을거야!’라고 기다리기만 해서는 안 된다. 반드시 적절한 조치를 해서 손상된 조직의 빠른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피로감은 가장 흔한 후유증이다. 여러 가지 염증으로 인해 피로감이 지속된다. 1개월 이상 지속되면 염증 반응이 남아 있다는 얘기이므로 꼭 치료를 해야 한다.
호흡곤란, 기침, 가래 증상은 코로나 급성기에 폐와 호흡기관의 내피세포에 일어난 손상 때문에 생긴다.
심장 불편감은 심근염 등으로 심장 근육에 무리를 주어 맥박이 너무 빨리 뛰거나, 가슴 답답함, 가슴 통증 등으로 나타난다.
머리 증상은 신경염증 증상이 낫지 않으면, 머릿속에 안개 낀 듯이 멍한 느낌이나 두통 등으로 나타난타.
후각 및 미각 기능 장애는 후각 신경과 맛을 느끼는 수용체에 손상을 주어 냄새와 맛을 못 느낀다.
한의학에서는 대병(大病) 후에 소진된 기력과 진액을 보충하여 인체가 스스로 정상 기능을 회복하도록 해 주는 방법이 있다. 인삼 황기 숙지황 당귀 녹용 등의 약재가 주로 사용된다. 아울러 항염증 작용이 강한 황련 황금 시호 등의 약재, 폐와 호흡기관의 손상된 내피세포의 회복을 도와주는 맥문동 천문동 사삼 등의 약재, 심장 근육의 기능을 돕고 혈전 생성을 막아주는 삼칠근 단삼 등의 약재, 신경염증의 증상을 완화하여 머리를 맑게 해주는 천마 백지 박하 등의 약재, 후각과 미각 기능의 회복에 도움을 주는 신이 유근피 창이자 등의 약재를 후유증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가미하여 처방한다.
개인의 체질과 후유증의 종류에 맞게 처방된 한약을 복용한 분들은 증상이 빠르게 소실되어 쉽게 일상으로 복귀한 경우가 많았다.
코로나 후유증은 인체 내부에 실제적인 손상을 일으킨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냥 쉰다고 좋아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격리가 끝나면 가까운 한의원을 방문해서 후유증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한약 처방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새해에는 코로나가 종식 되었으면 좋겠다. 만약 코로나가 계속 된다면 몸에 좋고 부작용 없는 한약 전문가인 한의사와 친해져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한 해를 잘 보내시길 기원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