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같이 젊디젊은 나이에 하늘로 간 영혼들을 두 번 죽이는 유족들”, “#우려먹기_장인들”, “자식팔아_장사한단소리_나온다”, “#나라구하다_죽었냐”. 지난 12일 국민의힘 소속의 창원시 의원 김미나씨가 페이스북에 올린 내용이다. 아마도 그는 이태원 참사의 유가족과 그것을 정치적으로 이용한다고 생각되는 자들을 향해 쓴소리를 하려던 것이겠지만, 그 소리는 쓰지도 않았고 달지도 않았다. 그건 단지 인신공격에 불과했을 뿐이다. 감정적으로 가장 약해져 있는 사람을 향한, 불필요한 인신공격.
심지어 김 의원은 지난 달 말에도 방송사 인터뷰에 참여한 한 유족의 발언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망언을 하기도 하였다. “지 XX를 두 번 죽이는 무지몽매한 XX”라며 “자식 팔아 한 몫 챙기자는 수작”, “당신은 그 시간이 무얼 했길래 누구에게 책임을 떠넘기는가! 자식 앞세운 죄인이 양심이란 것이 있는가”. 엄연히 “지 XX”, “자식 팔이” 등의 원색적이고 악의적인 워딩이 담겨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 의원의 해명은 다음과 같았다. “유족들을 이용하는 단체를 향한 발언이지 유족들을 향한 발언이 아니다. (중략) 유족들이 들었을 때 부적절한 내용이 있다고 하면 죄송하다”.
아마도 김 의원의 생각은 다음과 같았으리라. 참사를 정치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이 사건은 불의에 벌어진 참사일 뿐, 어떤 의도가 개입되어 벌어진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를 계기 삼아 정권을 공격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김 의원의 생각이 이와 같다면, 이건 반은 맞지만 반은 틀린 생각이다. 그것이 불의에 벌어진 참사이며 어떤 의도가 개입되어 벌어진 사건이 아니라는 것은 맞다. 하지만 그와 같은 참사가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었을 기회가 우리에게는 여러 번 있었다.
예컨대, ‘정치’란 무엇인가. 그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다. 다스린다는 말은 어떤 누군가가 자신의 권력을 이용해 사익을 축적하는 행위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보살피고 관리하는 일, 정리하고 수습하고 바로 잡는 일을 의미할 뿐이다. 그리고 민주주의에서 그 다스림의 자리는 특정한 개인에게 귀속되는 것이 아니다. 때문에 선출된 국민의 대표가 그 자리에 위치하더라도, 그것은 법이 정한 기간 내에서의 점유일 뿐, 영속적인 것이 아니다. 이렇게 잠시 ‘다스림’의 자리를 점유한 사람이 해야 할 일은, 현실화되지 않은 가능성을 현실화시키는 것, 그리하여 일어나선 안 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끔 막는 것에 있다.
김 의원의 말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있자면 슬퍼진다. 그와 같은 ‘정치’의 의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권한과 책임을 모두 망각한 채,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한 자기보전적인 말하기만을 하고 있을 뿐이다. 예컨대, 자신이 행해야 할 정치와 다스림의 근본에 대한 고민을 망각하고, 자신을 그 자리와 동일시하며,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었다고 여겨지는 정치권력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이 그것이다. 여기에는 자신의 능력과 책임에 대한 고민이 존재하지 않는다. 진실과 거짓에 대한 판단도 존재하지 않는다. 자신이 동일시한 것에 대한 공격과 그것에 대한 방어만이 존재할 뿐이다.
인문학 강사로서 그의 말이 한층 더 처참하게 느껴지는 것은, 이와 같은 정치적 방어의 언어가 어떠한 논리도 담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그는 시의원이라는 직책을 가진 사람으로서, 유가족의 말에 자리하고 있는 논리에 대해 논리로서 이야기해야 했다. 하지만 김 의원이 택한 것은 논리적으로 유가족의 말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와 같은 말을 하는 사람 자체를 공격하고, 그들을 부도덕한 정치적 악의를 가진 사람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그것도, 아주 원색적인 표현들을 남용하면서.
진실과 거짓에 대한 판단이 사라진 자리에는 무엇이 남는가. 김 의원을 비롯해 막말을 쏟아내는 여러 의원들을 바라보며 그것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진실은 단순히 사실을 의미하지 않는다. 자신이 연루된, 그렇기에 자신의 양심을 걸고 지켜야 하는 거짓 없는 사실, 그것이 바로 진실이다. 막말을 일삼는 의원들에게 묻고 싶다. 당신들은 어떤 것을 진실로 여기며 살아가는가. 어떤 진실로부터 달아나기 위해 그러한 말을 쏟아내는가. 그리하여, 당신들에게 정치란 무엇인가. 당신이 원하는 국가란 정녕 어떤 모습인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