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30곳 만든다

이시라기자
등록일 2022-03-23 20:44 게재일 2022-03-24 12면
스크랩버튼
교육부, 기본계획 발표<br/>전문대-기초자치단체 손잡고<br/>인재육성·교육체계 개편 추진<br/><br/>컨소시엄별 연간 15억씩 <br/>3년간 총 1천350억 지원
정부가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대학기 기초자치단체 수요에 맞는 인재를 육성하고 교육 체계를 개편하도록 유도하는 사업을 마련했다.

교육부는 전문대와 기초자치단체가 지역 특화 분야와 연계해 교육체계를 개편하고 지역 발전을 돕는 ‘고등직업교육 거점지구 사업’ 기본계획을 23일 확정했다.

사업에 참여하는 전문대는 기초단체와 함께 지역 일자리 창출·경쟁력 강화에 중심 역할을 하거나 지역 발전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해 지역기반 고등직업교육의 거점 역할을 맡게 된다.

사업은 전문대학과 기초자치단체가 컨소시엄(연합체)을 구성해 신청할 수 있다.

국비 405억원과 지방비 45억원 등 45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된다. 총 30개 연합체를 선정해 연합체 한 곳당 15억원의 예산을 3년간 지원한다.

수도권, 충청·강원권,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경남권, 호남·제주권 등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당 6개 안팎의 연합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10%이상을 기초자치단체가 지방비로 부담해야 한다.

선정된 전문대학은 교육과정을 개편해 지역특화분야 인재를 양성한다. 지역특화분야와 연계해 학사조직을 개편해 정원 내 정규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특성화고등학교 등 중등 직업교육과 연계 방안을 모색한다.

행정안전부는 자치단체가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을 수립할 때 연계할 수 있는 다부처 협업사업에 해당 사업을 포함하는 등 사업 홍보·참여를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역 내 산업 정보를 제공하고 특화분야 선정 이후 상생형 지역일자리 지원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 내 산업체 지원방안을 모색한다.

참여 연합체는 사업계획과 사업비 집행 등 의결을 위해 전문대 총장, 기초단체장, 교육지원청 교육장, 지역 상공회의소 회장 등으로 고등직업교육혁신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한다.

대학에 지역 특화분야에 맞는 맞춤형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정규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지역 내 산업체 재직자 재교육, 신중년 재취업 교육, 지역주민 전직교육 등 지역 인재양성 기능도 맡는다.

교육부는 5∼6월 평가를 거쳐 6월 중 사업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지역사회 평생직업교육 고도화에도 나선다.

지역 특화 학과와 연계한 직업교육 심화과정을 운영해 지역 산업체 재직자 재교육, 신중년 재취업 교육 등을 지원한다.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주요 현안사항을 전문대학과 기초자치단체가 협력해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도 수행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역소멸 등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인적·물적 기반(인프라)이 집약된 전문대학과 기초자치단체 간 협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