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비스킷’은 영화 제목이기도 하고, 타고난 승부근성이면서도 매우 특별한 경주마 이름이다. 이 경주마의 특징은 자신이 뛰고 싶을 때에만 열심히 달리는데 지독하게 게으르고 고집이 센 말이다.
그 독특한 시비스킷의 경주마적 진가를 알아본 인물이 있다. 마주 찰스 하워드와 조련사 톰 스미스, 그리고 기수 레드 폴라드다. 세 사람의 연관을 보면 찰스가 시비스킷을 산 후 톰을 조련사로 고용하고, 톰은 레드가 시비스킷처럼 사고뭉치라는 공통점을 보고 기수로 훈련시키는 관계다.
시비스킷의 주인 찰스 하워드는 자전거 수리공으로 출발해서 일약 미국 자동차 산업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러나 어린 아들은 자신이 만든 트럭을 타고 나가 죽은 뒤 이혼까지 당하는 불행한 재벌이었다.
조련사 톰 스미스는 한뎃잠을 자며 떠도는 외로운 사나이였다. 사실상 벙어리처럼 여겨졌던 수수께끼의 인물이었다. 그는 개척지에서 흘러 들어온 떠돌이 출신이지만 잃어버린 지혜와 말에 대한 비밀을 간파했다. 야생마를 길들이는 데 신비한 능력이 있었다.
레드 폴라드는 시골 경마장 한 구석에 버려진 고아 같은 신세였다. 무거운 안장을 짊어진 채 유랑생활을 했다. 낮에는 마구간에서 일하고 밤에는 복서로 뛰지만 기수로는 너무 몸이 크고 복서라기에는 너무 몸이 작았다. 소도시의 권투장에서 워낙 얻어맞아 한쪽 눈까지 실명했다. 툭하면 피투성이인 채로 마구간 층계에서 잠들곤 했다.
이들 역시 별 볼일 없는데 어떻게 시비스킷을 세계적인 명마로 바꿀 수 있었을까? 그 비결은 “칭찬과 인정”이었다. 억지로 달리기 훈련을 시키는 대신, 달리고 싶은 마음이 생기도록 유도했다. 말을 듣지 않고 저항해도 채찍질하지 않고 진정되기를 기다렸다. 기수 레드 폴라드는 “난 너를 혼내지 않아”라면서 말에게 다가갔고, 채찍을 쓰는 대신 늘 목을 토닥거리고 간식을 주었다. 수면 시간에는 마음껏 자게 내버려 두었다. 게으름과 고집을 인정해 주고 승부근성을 칭찬했다. 나쁜 습관은 단 번에 뿌리를 뽑으려하지 않고 조금씩 버리게 했다.
일이든 사업이든 탁월한 지식과 정확한 판단력을 기반으로 하되 보이지 않는 것까지 찾아낼 수 있는 혜안이 갖춰진다면 그보다 더한 성공은 없으리라. 동물도 그렇지만 사람 역시 자신을 알아주는 만큼 발휘한다고 한다.
칭찬과 인정이 최고의 리더십이다. 그렇다면 리더는 누구인가. 대통령인가? 마주와 조련사와 기수에서 연상되는 우리(국민)가 아니겠는가. 세계 속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주자에게 숨어 있는 최고의 가치성을 발견한 이들이 곧 우리여야 한다. 우리가 뭉치고 주자의 가치를 최대한 살린다면 업적은 엄청날 것이다.
‘시비스킷’이라는 영화가 사람들을 매혹하는 것은 등장인물들의 역할 때문은 아니지 싶다. 그게 말이든 사람이든 대상의 장점과 단점을 정확히 알고 그대로 인정하는 것. 자신의 믿음을 초지일관할 수 있는 등장인물들의 용기와 자신감. 자신을 알아봐주는 사람을 위해 온힘을 다하는 시비스킷의 정열. 이것이 관객을 열광시켰다.